그곳이 궁금하다

​"그곳이 궁금하다"에는 전국 각지역의 조황이 궁금 하실때 글을 올리시면 "포인트 1000점"이 댓글은 "포인트 200점"이 충전 됩니다.

 단. "그곳이 궁금하다"에 적합치 않은 글과 비방과 조롱의 댓글은 경고 없이 강제 삭제와 포인트가 삭감 되는 불이익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떡붕어 치어는 어디서 어떻게 구입하나여?

임택구 5 3,890
둘이하나님의 답글을 보고
 
 붕어세상의 배워서 남주기를 보십시요.
 
 희나리붕어는 영남권을 중심으로한 토종 붕어입니다.
 
 위 글의 출처에서 글을 쓴 분은 어떤분인지(전문가인지 or 어설픈글쟁인지)
 
 모르지만 참으로 어이없는 글이 올라와서.....
 
 떡붕어가 또 욕을 먹네요.
 
 둘이하나님의 의견에 의의를 다는 것이 아닙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글레머배스  실버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두리하나
이번 기회를 통해 희나리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다가 떡붕어가 유해어종이라는 글을
접하게 되었던 것이고, 희나리 붕어는 붕어세상 자료엔 영남권을 중심으로 한
토종붕어라는 설이 있듯이 다른 사이트의 자료엔 토종과 떡붕어의 교잡종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여러 사람들의 연구와 자료, 자신의 의견으로 토종이다 교잡종이다라고 말이 많은거 같네요.
허나 자신이 알고 있는 것으로 다른이들의 의견은 어이없는 글이라고 간주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우선 다음 검색창에 희나리붕어를 검색하면 물고기나라 카페의 글이 있습니다..
거기엔 님과는 다른 글이 있는걸 확인 할수 있네요..
한번 확인해 보셨음합니다..

저또한 태클이 아니라 앞에서 거론했듯이 여러사람들의 의견과 연구로 여러가지의
의견이 있을수 있는데 자신만의 생각이 무조건 맞다라고 말하는건 아니라는 생각에
글을 올립니다...
참고로 전 둘이하나가 아니라 두리하나입니다.
레인아이
희나리는 토종붕어의 변형 아닌가요?
경상도 지방에도 희나리 예전부터 많이 있었는것 같습니다.
잘 읽어보고 갑니다.
낚쑤
다같은...붕어 아닐까요????
U앤D
제가 알고 있기에는 희나리에 대한 연구 자료는 한국해양연구소 김종만 박사(해양생물자원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의 논문이 유일합니다.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에 쓴 김 박사의 석사학위 논문인 "부산 근교의 붕어 형태에 관한 연구"(부산수산대 수산생물학과, 1974년 7월)에서 이미 낙동강계의 저수지와 강에 우점종으로 서식중인 희나리 붕어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타나 있읍니다.
또한 경상권의 80세 이상 고령 낚시인들의 낚시 이야기등 에서도 이미 어릴적부터
희나리를 낚시를 즐겼던 것이 알려져 있읍니다.
 
떡붕어란 녀석은 1970년대 초 2개의 경로를 통해 국내에 도입되었고
하나는 사적인 경로를 통해, 또 하나는 공적인 경로를 통해 들어왔읍니다.
사적으로는 1970년 5월 양식업자인 김모씨(당시 G양어장 대표)가 400만개의 종란을
들여와 이듬해인 1971년부터 경기도에 치어를 납품했고
1972년부터는 일반인에게도 분양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공적으로는 1972년 진해내수면연구소가 일본 오사카담수어시험장으로부터
4㎝ 크기의 치어 6000마리를 기증받아 들여와 숫자를 늘린 후
80년대 들어 청평호와 소양호에 다량 방류하기 시작했답니다.
기록에 의하면 80년대 청평·소양호에 공식 방류된 떡붕어 수는 24만 마리로 나타나 있습니다.

희나리에 대한 수년간의 연구의 논문이 발표되던 시점 경에 떡붕어는 우리나라에
최초로 도입 되었고, 그곳은 희나리와는 무관한 경기도권 이였읍니다.
최초 도입된 종란의 경우는 양식 실패로 대부분이 폐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읍니다.
또한 그로부터 8년여의 시간이 지난후 국내 내수면(충청권)에 방류 되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기록이 남아 있읍니다.

즉, 시기적인 것들오 따져 보아도 희나리는 이미 오래전 부터 우리 낚시인들의 곁에서 함께해온 우리만의 붕어라는 쪽이 우세한 것 같읍니다.
지금도 한국해양연구소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진행 중이니 조만간 우리의 궁금증을 해결하여
줄 것이라 봅니다.
U앤D
싑게 흑인 황인 백인 각각의 차이이지 유전자 구조가 비슷하다고
황인은 흑인과 백인의 교잡종은 아니라는 것.....(비유가 조금 이상 함가요?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0 오산수로 Y자 지점을 주목하라!!!!!!!!!!! 댓글2 피리시러 06-21 21:50 2922
189 영천 조황 좀 알려주세여~~~ 댓글1 무한도전 05-06 09:17 2922
188 오산수로 조황 아시는 분.... 댓글4 밤안개 05-10 13:02 2920
187 웅촌 초정교^^*불암지^^ 댓글1 손병근 03-02 12:59 2915
186 합천호 조황이 궁금합니다. 댓글2 빈대 03-26 23:24 2913
185 개천지 위치좀..... 따부리 05-08 16:15 2910
184 달창지궁금합니다... 댓글2 낚시 11-10 22:45 2910
183 소류지안내 댓글4 유대식 10-18 19:13 2909
182 마산/함안/군북권 조황 및 동출 댓글4 삼단입수 03-27 23:56 2906
181 갓골 댓글4 금붕어 02-23 15:24 2905
180 가음지 무을지 궁금합니다 날마다행복 10-30 21:17 2893
179 진주권에 희나리나 떡붕어가 서식하는곳을 알고 싶습니다.. 댓글1 붕사마 11-26 13:15 2892
178 초가을의 좋은 포인트 알려주세요.... 댓글8 민유돈 09-13 11:23 2881
177 오설지 대원지 짬짬e 04-19 21:47 2876
176 소류지 양거석 10-14 12:13 2870
175 포천의 어느 곳(?) 댓글7 하늘등대 05-29 11:26 2869
174 의성권 소류지 가는길좀/?/? 댓글2 풀향기 10-18 13:13 2848
173 예당지 조항점알려주세요^^* 백서향 10-07 23:40 2847
172 가음지저번에 고기떼죽음한이후소식이궁금하내요 조황좀부탁요 댓글9 먼산두리베기 08-22 11:17 2846
171 환곡수로 조황 댓글3 즐겁게 삽시다 03-29 20:38 2836
170 유등수로쪽 조황아시는분....? 댓글1 에코 10-10 22:41 2834
169 붕어찾아삼만리....... 댓글3 김춘근 04-28 19:59 2828
168 창녕 대곡늪 조황좀 부탁드립니다....내용 無 댓글4 종엽아빠 03-14 10:35 2827
167 백암지 소식 좀... 댓글1 이상태 04-02 08:21 2826
166 양포다리,악양루..... 댓글8 구름 02-11 18:04 2824
165 답답한 붕어와춤을.......... 댓글2 붕어와춤을...... 04-20 13:15 2821
164 조개양식장........... 댓글4 붕어와춤을...... 01-02 08:42 2820
163 울만수로라는곳의 위치좀가르쳐주세요.. 댓글3 김도진 08-23 21:41 2815
162 도유지 조황궁금합니다.. 떡밥 10-04 08:18 2809
161 알려주세요 댓글4 손광백 11-07 12:44 2808
160 요즈음~주변상황 댓글2 니지 05-20 00:38 2808
159 김해 한림 지역의 현재 조황을 알고 싶습니다. 댓글7 최봉길 10-26 21:51 2800
158 김해근처에..... 깐붕어 06-15 22:09 2796
157 장어낚시 댓글1 김남중 09-10 10:23 2795
156 늦 여름에 좋은 장소 좀 추천해주세요. 댓글3 피리시러 08-27 15:57 2793
155 학포수로 요즘 조황 궁금합니다. 댓글3 피리시러 09-11 09:18 2791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