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층 내림대중 가장 두께(원경)가 가장 얇은 낚수대 추천좀 해주소(15,18척)

구력20년 17 4,135
15척이나 18척중 두께(원경의 지름이 가장 얇은 낚수대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사용하시거나 아시는분 리플좀 부탁합니다...물론 가벼우면 더 좋겠죠.

자세한 설명 부탁합니다.

짤막한 답변 사절입니다........................

경험많은 조사님들의 글 남겨주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구력20년  실버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수리나
동와물산의 특작수가 조금 얇은걸고 알고있어여........^^
레쯔비
원경이 19미리..정도가 보통일것 같은데요
국산대로 고죽이나. 기타..
일산은 세이코 토도도 가늘게 보이던데요.
짧은 답변이라 죄송합니다. ^^
선경이 가는건 손맛과 직결되는데.  원경이 적은것은 대의 강도와 직결되는게 아닌지..
오춘석
세이코대가 대체로 원경이 가늘구요    몽이  가늘고 허리힘이 가장 좋습니다.
몽 은 16척 까지 만 나옵니다.
엔조헤라
토도대 가아닌가싶군요 세이코대입니다
이재희
세이코 대가 가장 얇고 가마가츠의 장월대도 얇습니다
이 낚시대는 대체로 손맛대라 16척(일부는 16.5척 까지 밖에 않나오죠)
국산인 고죽대도 다른 낚시대의 반 정도 밖에 않되죠
24척 까지 만든 대 중에는 지금은 단종 되었지만 시마노사의 본조리일 것입니다 무게가 보천원보다 조금 더 나가지만 실제로 다루어 보면 보천원보다 가볍게 느껴집니다
강도는 아직 대물을 많이 걸어보지 못해서 모르겠읍니다
떡붕어는 40cm급 까지는 무난합니다
그리고 다이와의 단종품인 이대목 고법사도 상당히 가늘게 나왔읍니다
아직도 일본에서는 상당히 많은 메니아가 있는 낚시대로 고법사시리즈가 대중적인 인기를 확립한 계기가 된 낚시대로 알고 있읍니다
무게도 위의 본조리보다 조금 무겁지만 무게에 비해 가늘게 뽑아서인지 가볍게 느껴집니다
일반적으로 손맜대가 글라스화이버를 많이 섞어서 고탄성 카본대에 비해 가늘지만 무게는 조금 더 나갑니다
그리고 손맛대는 보통 16척 까지만 생산하고 그 이상을 생산하는 것은 손맛대가 아닌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위의 본조리나 이대목 고법사는 손맛대가 아닙니다
그리고 국산의 고죽대도 가늘지만 특이하게 고탄성 카본을 사용하여 엄밀한 의미에서 손맛대는 아닙니다
가늘게 뽑으면서 고탄성 카본을 사용하여 나름대로 노하우가 있는건 지 아니면 강도에 문제가 있는 지는 모르겠읍니다
세이코의 부지화도 가늘지만 대가 빳빳해서 고탄성카본대로 보이는데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으로 보아서는 글라스화이버를 섞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라스화이버의 함유율은 세이코사의 특급비밀이라 그 내막은 모르겠읍니다
세이코사의 낚시대는 가장 가는 낚시대이지만 무게는 보통의 낚시대보다 무겁습니다
고탄성카본을 사용하는 낚시대는 일반적으로 대가 빳빳하고 두께가 굵고 가볍습니다
이런 면에서 위의 본조리나 이대목고법사는 기존의 통념을 깬 낚시대로 보입니다

 그리고 휨세는7:3과 6:4의 중간 정도인 중경질대 입니다
단종된 제품이라 일본의 중고시장에서 구입하여야 하는데 요즘은 환율 때문에 구입이 어렵습니다
낚시마
고죽 6:4 18척 상당히 얇더군요
필링
세이코 토도 가늘고 손맛이 좋은
참 매력적인 낚시대라고 생각합니다.
미야기??? 라는 낚시대도 가는것 같은ㄷ요
기억이 가물가물 하네요
정중동
고죽대가 가늘어 보입니다
캐디스
저는 고주대가 제일 얇은줄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 보군요^^&
버들이~~~
세이코대가 가장 얇은듯  제 개인적으로는  너무 얇은 로드는 손에 맞질 않더군요
맥도날드
특작수 사용중인데 국산대에서는 가늘고 가격대비 성능도 만족....
독고붕애
잘보구 갑니다.
철근공사
세이코 괜찮지요 ...
수원케미
고죽대가 가장 얇지안나요?
나그눼
장월대도 가늘지요

매력있는대 입니다.
주종식
...무지 많이 알고 계시네요...
예교짱
유용한 정보를 아시는 분들이 많아서 꽤 유용합니다. 많이 배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