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찌! 톱에 케미를......자문을 부탁 드립니다

달마감독 20 4,358
내림찌! 톱에 케미를......자문을 부탁 드립니다

야간에 후레쉬를 사용하는거 보다는 찌톱에 케미를 달면 가능 할까요?

눈에 쥐나내요 처다보기가....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달마감독  실버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쿠당탕
저도 전자찌 준비 안했을 경우에는 종종 찌톱에 케미 달아서 씁니다.
전자찌는 밝아서 붕어의 경계심을 유발할수 있기 때문에
위 방법을 고수하시는 분들은 전자찌를 사용하지 않으십니다.
그래서 요즘은 한목에만 불이들어오는 전자찌도 살수가 있습니다.
또한 케미를 단 부분에 표면장력이 생기기 때문에 미끼운용과 찌맞춤을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잘 조절하셔야 할 듯 합니다.

전 시력이 안좋아서 눈이 너무 피로하더군요.
그래서 전 익xx 전자찌 씁니다.
달마감독
전자찌는 조금 둔하지 않은가요? 저도 있지만 그냥 안쓰고 있거든요!
쿠당탕님의 조언 감사합니다
박상선
좀 둔합니다 전자찌
티맨투
캐미를 달아서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단 부력이 좀 나가는 찌를 사용하시고 캐미도 2mm짜리야광캐미를 구입하시면 됩니다(파는낚시점 별로 없다는 단점)
찌는 찌케이스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찌를 이용해서 찌톱 한마디정도 잘라내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캐미를 찌톱과 나란히 태이핑하면 됩니다(순접하셔도~~)
둔한 전자찌보다 낳을수도 있습니다~~
필링
캐미달아서 하는게 더 좋을수도 있답니다. ^^
바닥낚시처럼 케미고무를 찌에 장착하지 마시고
낚시방에 가면 내림중층용 좀 작은 캐미가 있습니다.
스카치테이프 얇은거 하나 가지고 다니시다가
살짝 붙여서 사용해 보세요.
최필선
내림은 예민하게 갈수밖에 없는것 아닌가요 전자찌도 종류가 여러가지여서
잘찾아보시면 .... 그래서 저는 렌턴이 제일났던데요
제소견입니다만.......
이정규
약간의 설명을 드려야 할것 같아 로긴했네요~
캐미를 다는것에 대해서는 티맨투님의 말씀대로 하셔도 절대 무방합니다.
단지 찌톱 짤라내진 마시고~ㅎㅎ
캐미의 무게를 이길만한 부력을 가진 찌를 고르셔서 스카치 테잎이나 내림전용캐미를 사시면
테잎도 같이 들어있죠
중요한것은.....
찌맞춤입니다. 일단 찌맞춤을 하실때 무바늘로 하시던 습관을 버리시고 바늘 달고 찌맞춤을
하시되 캐미가 절대 물에 붙어서는 안됩니다. 만약 붙게 찌맞춤이 되어있으면 떡밥이 떨어져서 찌가 솟아야 할때 못솟아 오릅니다. 그리고 찌맞춤 하신뒤에 대를 살짝 당겨서 캐미를 물에 붙여본 후에 표면장력을 이겨내고 물위로 올라오는지 반드시 확인 하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밥 달고나서 목내림으로 붙어있던 캐미가 밥이 다 떨어져도 올라와서 최초의 목수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일반 소꼬즈리 하실땐 특히 더 중요하죠
제가 자주 사용하는 편인데 그거 의외로 고부력찌라야 캐미의 무게를 이겨서 표현해주거든요
전자찌도 요즘은 마디마디 모두 불 들어오는게 있고 그찌 저도 애용하는 편인데 예민합니다
오히려 캐미보다 나을때도 많죠~ 특히 단차할때 편합니다.
일반 소꼬즈리도 튜브톱을 사용하는 시기이므로 부담없이 사용하시는게 더 좋을듯 합니다.
찌맞춤 하고 표면장력을 반드시 지켜서 사용하시면 낚시하시는 데 많은 도움이 될것이며
제 글에 이의가 있으신 분들은 말씀하시면 다시 설명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전 지금도 캐미와 전자찌를 모두 사용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필링
표면장력 무시못하죠. 잘보고 갑니다.
달마감독
캐미 사용하시는 분들을 본적이 없어 고심하고 있었는데 의외로 많이들 하시내요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정보 감시합니다
으라차차
저도  캐미 달고 사용 하는데  잼나네요 ㅋㅋ
최필선
이정규님 글보니 저도 한번해봐야겠네요. 글잘보고갑니다
가물이
이정규님 글
정보 감사 합니다.
초심으로
그래도 렌턴이 나을듯합니다.
최필선
네 글보고 해봤는데 잘안되네요 .렌턴이 편한것같아요
이정규
최필선님께서 하셨던 낚시의 채비가 궁금합니다. 형태도......
말씀해 주시면 해당되는 경우의 찌맞춤이나 방법을 다시 알려드릴 의향은 있습니다.
왜냐면......
어떤 채비를 어떤 형태로 하느냐에 따라 캐미를 어디쯤에 부착하고 찌맞춤을 어떻게 하느냐를
결정하게 되며 각각의 경우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어떤찌를(이름이 아니라 찌의 형태나 톱의 재질등....)사용하느냐도 관건이죠~
최필선
바늘을달고 내림찌 찌톱윗부분1목을 자른디 케미꽂이 붙여서 케미달고 사용했어요
원래5목을 맞추었는데 6목으로 맟춰사용했구요
그런데 예민성에 차이가 있는듯합니다
이정규
제가 요즘 바빠서 이제사 답글 드리네요~ㅎ
캐미가 위에 올려져 있는것과 옆에 붙어 있는 것중 뭐가 더 좋으냐고 물으시면 답하기 참 난해한 면이 있지만서도.....그래도 제 사견엔 옆이 좀 더 나은것 같습니다.
6목으로 맞추신게 바늘 달고나서에요?
만약 그랬다면 다음엔 스카치 테입으로 내림 전용 캐미를 원하시는 목수에 붙이시고요
찌맞춤을 바늘 달고 하신뒤에 캐미가 물에 붙지 않게 찌맞춤을 하시는 방법을 해보시죠~
방법은 간단합니다 찌의 부력이 캐미의 표면장력을 이겨내고 캐미가 물에서 붙어있다가 살며시 올라올때까지 편납을 감 합니다 그렇게 하면 목내림이 되어서 캐미가 붙었다가도 모도시
즉 되돌림이 시작될때도 표면장력을 이겨내면서 되돌림이 되기때문에 좀 더 명확한 입질에의
표현을 해줄수 있게 됩니다.
최필선
아 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강용주
마니 둔 합니다,,전자찌
나그눼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