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낚시복 선택법

붕어세상 9 5,682
1155025148.gif

사실 낚시꾼을 가장 낚시꾼답게 보이게 하는 것은 낚시복일지도 모르겠다. 등산객은 등산복을 입고, 스키장에 가서 스키를 타기 위해서는 스키복을 입는다. 바다에 잠수를 하는 잠수부는 당연히 잠수복을 입고 우주로 나가기 위해서는 우주복을 입는다. 우스갯소리가 아니다. 낚시복을 설명한 서두를 단순히 ‘낚시꾼답게 보이는 소재’ 쯤으로 설명한 이유는 다른 데 있는 게 아니다. 낚시꾼이 입기에 가장 적절한 옷은 낚시복이며 낚시 도중 가장 효율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옷도 낚시복이라는 말이다. 아직도 고가의 낚시복을 더러 사치라 여기는 낚시꾼이 있다. 하지만 스키장에서 스키복을 입지 않으면 아닌 말로 ‘쪽팔린’ 것처럼 갯바위에서 낚시복을 입지 않으면 낚시꾼 티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더구나 현장 상황이 열악한 바다낚시에서는 낚시복은 물론, 구명조끼 같은 보조 장비도 필수다.

낚시복 수명은 3년

낚시꾼이라면 대개 낚시복 한 벌 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다만 다른 장비들처럼 여러 벌 갖고 있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낚시장비 치고는 고가에 속하는데다 릴이나 낚싯대처럼 여분을 두기에도 애매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는 낚시복 자체가 다른 장비에 비해 소모성이 덜한 게 주원인일 것이다. 또한 릴이나 낚싯대의 경우 호수별로 구입을 하게 되지만 낚시복은 착용자에게 맞는 호수 하나면 족하기 때문에 여분을 구매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낚시꾼은 낚시복이 떨어지지 않으면 그대로 입고 다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겉보기에 색이 많이 바랬다든지 아니면 갯바위에서 불을 피우다 실수로 바지에 구멍이 난 정도가 아니면 보통 그대로 입고 다닌다.

tex.jpg

하지만 낚시복의 수명을 기능면에서 계산한다면 3년 정도면 새 제품을 고려해 볼 시기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낚시복을 팔기 위한 상술’이 아니냐고 반박하는 꾼들도 많겠지만 이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어떠한 제품의 낚시복을 입었을 경우 처음에는 대게 편안함이나 따뜻함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러나 단벌의 낚시복으로는 해가 거듭될수록 추위를 견디지 못해 안에 옷을 더 껴입는다든지 파도가 낚시복에 튀었을 때 전혀 스며들지 않았던 물방울이 촉촉이 스며드는 경험을 한 꾼들이 많을 것이다. 낚시복의 소재는 일반 원단과는 다르게 세밀한 공정을 거친 기능성을 가진 원단이다. 때문에 세탁이나 옷의 구김 등 자연스런 활동에 의해 점점 기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가 되면 낚시복의 기능은 생명을 다한 것이고 방수, 보온, 발수 등의 기능은 상실되었다고 보면 된다.
낚시복의 기능이 상실되는 이유는 외피와 안감 사이의 필름막이 성능을 다했기 때문이다. 특히 낚시복 내부에는 방풍과 방수를 위해 심실링(Seam Sealing) 테이프로 봉제선을 마무리하는데 이것이 떨어져 나가도 기능이 떨어진다. 또한 낚시복의 외부 원단에도 완벽한 방수를 위해 발수액을 뿌리는데 이것도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낚시를 자주 다닌다면 낚시복의 기능성을 제대로 만끽하기 위해서 3년이라는 기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Gore-Tex or 3Layer

낚시복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원단의 발수(방수), 방풍 그리고 내부 필름의 투습기능이다. 쉽게 말하자면 방수가 완벽하고, 바람이 들어오지 않고, 내부 땀을 밖으로 빼내는 역할이다. 이 기능들이 우수한 제품이 좋은 낚시복이라 할 수 있는데 수많은 낚시꾼이 이 기능의 우열을 놓고 한 번쯤은 노심초사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런 기능을 가진 대표적인 옷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흔히 말하는 고어텍스 계열의 옷과 3Layer 계열의 제품이다. ‘고어텍스냐? 3레이어냐? 아니면 2레이어냐?’ 다 비슷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가격은 천차만별에, 헷갈리기 쉽고 함정에 빠지기도 쉬운 게 낚시복의 선택이다. ‘돈좀 들어도 고어텍스를 사라’는 꾼들과 ‘고어텍스가 뭐 필요해? 어차피 마찬가진데’ 라는 꾼들이 서로 조언(?)을 해대면 더 헷갈리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기능과 원단 등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먼저 낚시복의 제왕(?)처럼 느껴지는 고어텍스를 보면 겉의 원단마저 고어텍스로 착각하는 꾼들이 많다. 하지만 고어텍스는 미국의 L.W.고어라는 사람이 발명한 일종의 필름(막)의 특허명으로 막 자체에 미세한 구멍이 나있다. 이 구멍은 1만분의2mm의 크기로 최소 1mm의 빗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1,000만분의4mm 입자의 수증기는 통과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고어텍스’라고 부르는 옷들은 미국 고어사社의 필름을 원단에 함께 가공해 옷으로 만들어낸 것을 말한다. 반면에 3Layer 제품은 앞서 말한 가공 필름을 고어사社의 것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것을 사용했다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문제는 ‘고어텍스는 무조건 따뜻하다, 좋다, 최고다’라는 인식이다. 이 부분은 ‘그렇다’라고 할 수도 있고 ‘아니다’라고 할 수도 있다. 이유는 고어텍스 소재는 방수가 완벽하면서도 내부 수증기를 밖으로 빼내는 투습기능이 뛰어나다. 그렇다고 3Layer제품에 사용된 필름은 이런 기능이 없다는 게 아니다. 방수도 되고 낚시에 필요한 투습기능도 뛰어나다. 단순히 수증기를 밖으로 빼내는 투습기능만을 본다면 3Layer 제품 중에 고어텍스보다 수치적으로 뛰어난 성능을 가진 것도 있다. 보온기능에 대해 ‘고어텍스는 무조건 따뜻하다’라는 생각을 많이 가지는데 이 필름 자체가 보온성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겨울철 고어텍스를 입든 3Layer를 입던 내피는 무조건 입어야 보온성이 증가되며 단지 내열을 외부로 방출하지 않는 것과 외부의 바람 등이 쉽게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게 차단하는 기능이 있을 뿐이다. 이는 고어텍스와 3Layer 제품 둘 다 기능을 보장하고 있다.
그럼 결과적으로 고어텍스와 3Layer 제품은 기능에 큰 차이가 없다는 말일까? 그것은 아니다. 3Layer 제품에 사용된 필름은 고어텍스처럼 기능성이 완벽히 검증되지 않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제품의 낙후성을 드러내는 결점을 안고 있다. 고어텍스 필름을 사용한 옷은 소위 말하는 ‘고어텍스 로고’가 붙어 있다. 일부 사기성 제품을 제외한 대부분이 진품이고 철저한 생산관리로 인해 기능에 의심을 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하지만 3Layer 제품은 어떠한 필름을 사용하는지 이름만 가지고는 알 수 없으며 일부는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생산공정을 간소화해 만들어 그 성능에 의심이 가는 제품이 있다. 그 결과로 엉뚱하게도 이런 불량 제품들이 제대로 만들어진 3Layer 제품에 ‘딴지’를 거는 꼴이 되어버렸는데 이런 부분이 3Layer의 가장 큰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기능이 떨어지는 3Layer제품을 착용해본 꾼들 입에서는 당연하게 ‘고어텍스가 최고다’라는 말을 하게 되고 제대로 된 3Layer제품을 입을 꾼들은 ‘별반 차이 없다’는 말을 하게 되는 것이다.
활동성 면에서 따진다면 일반 3Layer나 고어텍스가 비슷하다다. 이는 앞서 말했던 필름을 어떤 형태의 것을 쓰는가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고어텍스는 자체 개발한 스판식 필름을 쓰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는 매우 고가의 제품이 대부분이다. 그 외의 제품들은 필름 자체에 신축성이 별로 없기 때문에 활동 중에 옷이 관절 부위에 걸리는 느낌이 든다. 흔히 갯바위를 오르내리다 낚시복 무릎이나 어깨 등이 몸에 걸려 자연스레 늘어나지 않는 경우를 경험하는데 이런 옷은 필름 자체의 신축성이 없어서이다. 고어텍스도 초고가의 제품을 제외하면 신축성이 없는 낚시복이 많다. 3Layer의 경우가격대가 높은 낚시복은 신축성이 있는 필름을 쓰는 경우도 있다. 특히 외부원단, 필름, 안감으로 이루어진 3중 구조의 낚시복은 마지막 안감이 고어텍스든 3Layer든 옷의 착용감을 위해 망사로 제작된 제품이 대부분인데 이 망사 또한 신축성을 떨어뜨리므로 활동에 제약이 생긴다. 그러므로 활동성을 겸비한 낚시복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고어텍스를 구입하든 3Layer를 구입하든 고가의 제품을 선택해야 하며 나머지 일반 적인 제품은 신축성을 기대하기 힘든 게 사실이다.
그런 결과 등산복이나 스노보드복의 경우 활동성이 강조된 제품들은 차라리 고어텍스 같은 필름막이 든 제품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스노보드나 등산은 우천시 즐기는 경우가 드물어 100% 방수를 지향하지 않는다. 단지 외부원단만을 초고밀도 소재를 사용해 99% 방수효과를 내고 활동성에 더 중점을 둔다. 또한 많은 땀을 흘린 경우 설령 고어텍스라 해도 그 많은 땀을 외부로 배출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겨드랑이와 허벅지, 무릎 아래로 지퍼가 달려있거나 통풍구가 따로 뚫려져 있어 내부 열을 밖으로 급배출할 수 있게 해놓았다. 이는 실제 고어텍스나 3Layer의 특수기능을 반증하는 사실로 땀이 많이 나면 결국에는 소용없다는 소리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낚시의 경우 파도나 바람, 급작스런 우천을 많이 경험하기 때문에 낚시복은 100% 방수를 선택할 수밖에 없고 다른 레저에 비해 활동성이 강조되지 않으므로 원단에 기능성 필름을 선택하는 게 유용하다.

sim.jpg
그렇다면 2Layer제품은 어디쯤 속할 지 궁금할 것이다. 이 제품은 쉽게 말해 착용감을 고려하지 않고 안감(망사)을 대지 않은 옷이라 생각하면 된다. 외형 원단과 필름만을 가공해 2중으로 처리한 2Layer 낚시복은 완전히 기능성에 중점을 둔 제품이다. 이것도 원단이 고어텍스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현재는 착용감의 문제로 거의가 3Layer 제품을 선호한다.
2Layer의 경우 겨울철 내피를 착용한 뒤 입게 되므로 가격 면에서 더 실용적이라는 평을 받기도 한다. 원단에 함께 가공되는 필름 자체가 보온기능을 가지는 소재가 아니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방수와 방풍, 탈습 기능만을 고려한 2Layer도 충분히 실용적이다. 하지만 4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봄과 가을철에는 몸 안에 얇은 옷을 입고 낚시복을 입는 경우가 많으므로 착용감을 고려한 3Layer제품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외국제품의 경우 2Layer 제품이지만 상당히 고기능성을 유지하고 가격이 비싼 제품들이 많다. 특히 스판 소재의 필름을 사용해 활동성을 고려한 2Layer 제품은 일반 3Layer 제품보다 더 비싸다.
2.jpg
▲심실링 처리가 제대로 된 제품은 안감과 테이프의 색상이 비슷하고 깨끗하게 붙어있어야 한다. 심실링 테이프를 열처리해 붙이는 과정 중 테이프가 안쪽으로 심하게 녹아들어갔다든가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은 옷 외부의 하자가 없더라도 불량이다. 옷의 마크를 봉재로 부착한 곳에도 심실링 테이프를 발라 방수하는 것이 우너칙이다. 간혹 이 심실링 작업 자체가 없다거나 숨겨져 있는 제품의 낚시복이 의심될 정도로 가격이 싸다든지 하면 의심해 볼 소지가 있다. 흔히 옷의 절개가 많이 이루어 진 옷이 비싸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절개가 많을수록 심실링 작업이 많기 때문이다. 낚시복은 되도록 물리적 세탁을 피하고 샴푸 등 피부에 직접 닫는 약한 세정제를 풀어 살짝 행궈 말리기만 한다. 제일 좋은 방법은 낚시 후 염분이 묻은 곳을 샤워기 같은 흐르는 물에 씻는 것. 염분은 쇠도 삭게 만들므로 고어텍스든 3Layer든 구분 없이 잘 씻어내 주는 게 현명한 방법이다.


최근 우리나라에는 ‘고어텍스 열풍’이라고 할 정도로 기능성 의류의 인기가 높다. 고어텍스가 아웃도어 웨어로 각광받는 게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 고어라면 만능‘이라는 괜한 인식이 사람들 사이에 펴져있어 행여 고가의 제품을 구입한 후 후회를 하는 구매자가 생길지도 몰라 염려스럽다. 심리학의 용어 중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라는 단어가 있다. 다른 말로 ’자기 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하는데 기대심리가 결과에 크게 작용한다는 실험으로 그 효과가 검증된 사실이다. 실제 ’고어텍스는 무조건 따뜻하다‘라는 기대심리가 고어텍스는 더 따뜻하게 하는 반면, 그 기대가 제대로 된 3Layer 제품의 기능을 죽이고 있는 건 아닌지 한번 쯤 생각해 볼 문제다. 전문가의 말을 빌면 제대로 된 3Layer 제품만을 구매한다면 고어텍스 부러울 것 없다고 한다. 특히 70~80만원대의 고가 낚시복 한 벌보다 20만원대 낚시복을 봄・가을용과 겨울용으로 구분해서 두 벌을 구매해 입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낚시복의 선택은 어차피 소비자의 몫이지만 좀더 낚시 현실에 맞는 소비를 위해 원단 자체만으로 기능에 관한 오해를 하는 일은 없어야겠다.


▲봄, 가을철 낚시복을 겨울에도 그대로 입는 낚시꾼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겨울은 말 그대로 정말 춥기 때문에 겨울 전용 낚시복을 입는 것이 도움이 된다.

3.jpg

취재협조:인터넷 바다낚시 및 토닉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47 붕어세상  최고관리자
152,923 (61.1%)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해롱붕어
겨울 낚시복을 구입 하려고 한 저 에게는 유익한 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철chul
동계용으로 오리털, 거위털로 따뜻하게 만들어진 옷이 많이 나와 있더군요.
저는 고어텍스XCR소재 제품을 입고 있는 데요.
봄에서 가을까지는 괜찮지만 추위가 조금 느껴지기 시작하면
내피도 입아야 하는 등 옷을 껴입다 보면 너무 둔해 지는 것 같습니다.

추위를 느끼는 계절에는 고어텍스나 3layer 등 보다는 방수성, 보온성을 갖추고 있는
기능성 옷이 좋을 듯 합니다.(첫번 째 언급한 것과 에어벤티지 등)
레인아이
낚시복에 대해선 문외안이였는데. 잘읽어보고 갑니다.
환희
흠...  잘 보고 갑니다. ^^
필링
좋은 정보인것 같습니다.
배고픈붕어
잘 읽고 가네요
박상선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필링
사진이 보였으면 더욱 좋았을껄 아쉽네요
나그눼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1 다이와 일격(15척) 낚시대가 궁금 합니다. 댓글10 이상화 03-08 16:56 4328
110 특작아 기풍 - 특작아 -석춘 어떤제품이 더 경질에 가깝나요? 댓글8 김상인 03-07 12:19 4165
109 받침대주걱많드는법....좀알켜주세요 댓글6 낚시 03-02 20:01 3513
108 시마노 섬광 골드 17척 댓글9 임병락 02-13 20:10 3460
107 등받이 의자질문요 댓글11 김인배 02-13 17:15 4593
106 일제 올림픽낚시대 천아 채11척 제품궁금증,가격알려주세요? 댓글4 정회철 02-10 20:28 4831
105 시마노 남마 특징 알고 싶습니다 댓글6 남상욱 02-05 16:22 4443
104 중층대궁금증`````` 댓글7 낚시 01-30 20:43 3945
103 낚수대 18척 문의 시마노 렌... 댓글6 박영규 01-30 16:34 4163
102 낚수대 18척 문의 시마노 렌... 댓글6 이계중 01-30 14:21 3733
101 18척 구입시 어떤게 좋을까요(경선경식,무주도인,특작아) 댓글8 무조건방생 01-29 16:35 4164
100 저부력찌 구하는곳 댓글8 김영일 01-24 08:30 3643
99 현봉경식과 경선경식 비교문의 드립니다. 댓글10 지용현 01-24 00:23 4176
98 다이와 호철 궁금 ? 댓글7 송행철 01-19 18:30 4993
97 다이신 중층대~ 댓글4 박철홍 01-18 14:55 3843
96 시마노 남마 출시 (제원) 댓글4 붕어세상 01-08 08:59 8932
95 시마노 경선경식 제원안내 댓글4 붕어세상 01-08 08:54 6650
94 경선경식과 기주도인 비교 부탁드려요 댓글11 박성규 01-02 07:52 4154
93 댓글11 박용권 12-25 09:18 6173
92 명작 리미티드 댓글5 백현기 12-22 07:46 3603
91 현봉경식,괴주 문의 댓글6 조태영 12-21 16:13 3583
90 사계경조에 대해서 사용후기를 부탁드립니다. 댓글9 박윤기 12-01 21:41 3721
열람중 올바른 낚시복 선택법 댓글9 붕어세상 11-22 09:15 5683
88 값싼 올림찌는 댓글5 김재헌 10-16 06:14 4670
87 가을철 중층찌 좋은 걸루 추천 좀 해주세요. 댓글5 피리시러 09-24 01:28 6466
86 세이코대 사용해보신분 댓글11 조명석 09-18 01:24 6709
85 민물 릴대...??? 댓글6 민유돈 09-07 13:24 3480
84 시마노 주문봉 릉대에 대해... 댓글8 피리시러 08-27 15:55 4391
83 노지에 사용하기 좋은 중층용 뜰채 좀 추천부탁드립니다. 댓글6 피리시러 08-22 08:02 6207
82 비경천.과 환주..좀 알려주세요 댓글4 이현석 08-07 03:14 2910
81 석춘과 경선경식 13척 차이점이라면? 댓글7 학실히꼬루자 07-28 11:16 5578
80 시마노 중층대 경신대 쓰보신분.. 댓글8 심재욱 07-25 23:05 6066
79 이 낚시대 가격은 얼마나 갈까여 ??? 댓글11 양어장조사 07-25 12:41 5773
78 큰붕어, 잉어낚시용 내림대 추천부탁 댓글5 피리시러 07-24 11:01 7856
77 중층대 검무2와 대좌대 댓글5 붕사마 07-15 17:16 6504
76 일본 옥션에서 시마노 구입시 ^^^^^^^^^ 댓글9 진시황 06-16 01:13 7092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