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어장낚시"에서는 양어장낚시 기법과 떡밥술등 노하우를 올려 주시면 "포인트 2000점"이 댓글은 "포인트 200점"이 충전 됩니다.

단. "양어장낚시"에 적합치 않은 글과 비방과 조롱의 댓글은 경고 없이 강제 삭제와 포인트가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미늘 없는 낚시

생자리 23 13,415
과거우리 조상님들도 미늘 없는 낚시 바늘을 사용하셨나 봅니다.




<옛시조> 낚싯대에 미늘 없는 낚시를 매어


아이야, 도롱이와 삿갓을 차려 내오너라.

동쪽 계곡에 해 지겠구나.

기나긴 낚싯대에 미늘 없는 낚시를 매어

저 고기야, 놀라지 말아라.

내 너를 잡으려는 게 아니고 흥취 삼아 하는 것이니라.






조존성 [趙存性, 1554~162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 양주(楊州). 자 수초(守初). 호 정곡(鼎谷) ·용호(龍湖). 시호 소민(昭敏).

1590년(선조 23) 진사로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한 후

검열(檢閱)이 되고, 대교(待敎)에 올랐다가 정철(鄭澈)의 일당이라 하여 파면되었다.

1593년 의주에 가서 대교에 복직, 그 뒤 명나라에 가서 상서(尙書) 석성(石星)에게

명군철병론을 철회하게 한 공으로 직강(直講)이 되었다.


1595년 해운판관(海運判官) 때 군량운반에 공을 세웠으며,

1613년(광해군 5) 생모추존(生母追尊)에 반대하여 파직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후에 형조와 호조의 참판 ·부총관(副摠管) 등을 지내고,

이듬해 이괄의 난 때 검찰사(檢察使)로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고, 난이 진압된 뒤

중추부지사 겸 의금부지사 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1627년 정묘호란때 분조(分朝)의 호조판서로 세자를 따라 전주에 갔다가

돌아와 병사했다. 《해동가요(海東歌謠)》에 시조 4수가 전한다.


출처: 개여울. 옛 견지낚시 자료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생자리  로열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생자리
김종하님 반갑습니다. ㅎㅎ 저도 자료를 수집하는 동안 이 글을 읽고 상당히 흥에 겨워었습니다. 우리 조사님들도 미늘 없는 낚시를 하셨고 상당수의 올림낚시꾼들도 미늘 없는 낚시를 사용하시고 게십니다. 다만, 과거에는 미늘 있는 낚시를 사용하였던것도 사실 이었지요. ㅎㅎ 낚시인 상호간에 정보나 교류가 부족하였던 것도 사실 입니다. ㅎㅎ 이제는 우리 우리 고유의(세계유일의) 우리 민족만의 찌오름낚시를 지키고 보급할 의무가 있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김종하
흥에 겨워읽다 보니 붕어애기가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수달
미늘없는게 편하긴해요
이운준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박해근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이창훈
우리모두 옛 선조들의 정신을 본받읍시다^^*
붕어바늘13호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붕어바늘13호
저희 동네만 해도 좋은곳이 있었지요.
김성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빙고(김종현)
ㅎㅎㅎ
옛날엔~
걍옆에있어도 귀한줄모르고 댕겼습니다
생자리
지금은 티카도 있고 올해 놀러갈 기회가 있으면 동영상이나 사진을 담아 볼 예정입니다. ㅎㅎ 장모님이 서울로 이사가신지 오래되어 찾은지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물반 고기 반이라는 소식입니다.
김봉기
반갑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 생자리님께 개인적으로 드리는 말씀 - 될 수 있으면 아르켜 주지 마세요.다 그렇지 않지만 만일 알려지는 날엔 고기 씨가 마를 것입니다. 우려인가요 ?  )
더욱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주종식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주종식
장소가 어디인가요
생자리
^^ 불과 20여년전만 하여도 물반 고기 반이었던 곳이 많았지요.
지금도 저희 처가쪽 농수로에는 붕어(5-9치), 잉어, 가물치가 물반 고기반 입니다. 슬러퍼 끌고 낚싯대 1대만 가지고 1시간만 잡으면 한양동이 입니다
나홀로 못에
옛 선조들의 정취를 느끼기 이전에
옛날에는 괴기도 많앗겟지 하고 생각이 드는건 외일까요 ㅋ
욕심인가;;;
잔디
미늘없는바늘이 좋네요^^
뻥맨
들 아프죠^^
수달
good
중층좋아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올빼미2
근데 미늘없는 바늘로 지렁이 꿰니까 자꾸 빠지는것 같던데요.
지렁이 낚시는 글쎄요.
미소119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촌평
다용도로 쓰기엔 좀 아쉽지만 
떡밥엔  무난할듯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0 올림낚시에서 찌의 급부상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 댓글1 충청붕어 09-06 10:46 6423
99 똑같은 줄 이라도 강하게 쓰자 댓글12 민물찌 07-11 20:09 7494
98 입문자를 위한 ‘붕어찌 길라잡이’‘찰떡궁합 찌’를 찾아라 댓글7 붕어세상 07-01 20:21 6788
97 떡밥 운용술에 대하여... 댓글4 최정탁 06-26 22:51 7526
96 떡밥 운용술에 대하여... 댓글2 최정탁 06-28 10:54 5414
95 좁쌉봉동 채비시 밤낚시 문제점 댓글7 놀랜붕어 05-17 21:20 9666
94 올림 낚시 챔질 시기 선배 조사님 조언부탁 합니다 댓글10 갈매기 04-24 22:59 5802
93 밤낚시의 포인트 댓글6 민물찌 04-21 22:50 6828
92 안녕하세요??올림낚시 잘하는방법은 머죠? 댓글6 씁세2세 04-10 17:41 7003
91 찌낚시와 찌올림 댓글10 생자리 04-04 13:20 5505
90 용어정리 댓글2 생자리 03-22 12:20 3914
89 [떡밥] 다나까.에코 두종류를 사용할려고하는데요 댓글3 현기사 03-14 21:38 4215
88 올림채비 댓글6 낚시인 03-12 12:26 10914
87 좁살채비가 일반 봉돌채비 보다는좋은건가요? 댓글4 현기사 03-07 23:48 7869
86 좁살채비에서 영점찌맞춤하고나서..... 댓글1 현기사 03-04 23:12 5508
85 답변감사합니다 그리고 또질문있습니다 댓글2 한수가르쳐주세요 02-22 22:30 2888
84 [올림]여러가지 질문좀하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댓글6 한수가르쳐주세요 02-21 19:12 4129
83 낚시대의 선택 댓글3 민물찌 01-11 10:36 4876
82 평지지는 사철낚시터 민물찌 01-08 21:15 4592
81 올림 낚시와 긴목줄 댓글6 빙고 12-24 10:39 9140
80 수초가 삭는시기는? 댓글2 민물찌 12-07 12:51 4277
79 새우만으로 밤 낚시를 댓글4 민물찌 12-03 09:34 5276
78 새우낚시의 위력 댓글1 민물찌 10-27 12:42 5609
77 새우낚시의 위력 정호열 07-27 02:36 3869
76 기초-새우낚시와 불빛 댓글2 민물찌 10-14 21:53 4081
75 기초 이해-새우미끼의 장점 댓글2 민물찌 10-14 21:51 5543
74 대표적인 형태의 찌 댓글3 민물찌 10-06 09:11 7536
73 새우낚시(가을철 새우낚시) 댓글3 민물찌 09-08 10:18 5567
72 찌의 역활은 무엇인가요?? 댓글6 민물찌 09-01 08:42 3426
71 생자리 포인트를 개발하자 댓글3 민물찌 08-19 11:08 5233
70 요즘 유료터 채비는 어떻게 하는지?? 댓글1 붕어 07-14 23:00 6340
69 여름철 밤낚시 요령 민물찌 07-13 09:46 8233
68 성숙하는 낚시문화 댓글2 앙큼한 붕애들 06-18 09:46 3133
67 쌍 바늘 채비란 댓글3 민물찌 06-09 16:30 9606
66 외 바늘채비에 대하여 민물찌 05-28 09:35 9161
65 줄 끼우기즘 댓글1 이윤제 05-15 13:34 5704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