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어장낚시"에서는 양어장낚시 기법과 떡밥술등 노하우를 올려 주시면 "포인트 2000점"이 댓글은 "포인트 200점"이 충전 됩니다.

단. "양어장낚시"에 적합치 않은 글과 비방과 조롱의 댓글은 경고 없이 강제 삭제와 포인트가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목줄의 차이점?(선배님들 조언부탁)

김종열 6 8,151
외바늘시 목줄의 길이의 길고 잛음의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목줄을 길게 하면 약한입질에 좋다고 하는
말도 있고해서요
그리고
저수지물이 공사로 인해서 몇년째 흙탕물인데요
미끼는 무엇으로 하면좋을까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김종열  로열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채도영
목줄 잘 배웠습니다
물안개
제가 쓰는 목줄과 바늘 운용술을 알려 드립니다.
먼저 바늘에 대한 일반적인 상식입니다.  첫째 대상어가 붕어일 경우 고기의 크기에 잦대를 두기보다는 그날의 일기.또는 물색.그리고 미끼에 우선합니다.  날씨가 차면 찰 수록 대물이 아닌 작은 고기일수록 그 입질의 범위가 줄어듭니다.  한여름에 떡밥미끼로 쭉쭉 올려주던 입질이 겨울에는 아예 손을 대지 않지요,  또 물색이 탁한곳에서는 무슨 미끼를 쓰던 마구 물어주던 물고기들이 물색이 맑은 곳에서는 해가 져야만 한다거나 흐린날.비온뒤에 입질하는 곳도 있구요. 이러한 일기 변화나 잒시 여건이 변할경우, 그래서 입질이 시원하지 않을경우 일단 바늘을 작은것으로 바꾸십시요.  혹시 이 바늘이 너무 작아서 고기가 걸리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은 버리십시요.  고기만 근처에 있으면 무조건 걸립니다.  예를 들자면 양어장 낚시에서 예민한 입질을 극복하기 위해 바늘을 적게적게 쓰는데 일반인들은 과연 이 바늘로 고기를 잡을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의 바늘을 쓰기도 합니다.  이럴때 바늘의 지름이 채2mm가 안되는 경우도 있지요. 
목줄의 이야기에서는 김종열님은 외바늘을 쓰신다고 하셨는데,  통상 외바늘은 수초낚시나 새우낚시에 많이 쓰는 채비법이지요.  그럴려면 일단 목줄이 굵고 짧아야 합니다.  목줄이 길면 소초에 걸리거나 감길 우려가  많구요 또 가늘면 잘 터집니다.  또 목줄의 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찌에 전해시는 본신의 찌올림 반경이 넓어집니다, 다시말해 목줄이 짧을수록 찌가 많이 솟아 오른다는 말이지요, 이는 붕어의 먹이 습성이 일단 흡입을 위해 수평인상태에서 머리(주둥이)가 땅바닥의 바늘쪽으로 숙였다가 흡입한 후 다시 수평을 잡는 각도(잔챙이 일수록 그 각도는 같으나 찌올림 폭은 좁음)에 따라 찌올림 폭이 차이가 나는데 목줄이 긴 만큼 그 찌올림폭이 줄어든다는 것이지요. 
저는 현재 외바늘 새우낚시를 즐겨 합니다만 바늘은 엄청 큽니다(일반적임) 그리고 목줄의 길이는 5~7cm정도를 주로 사용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쥐락펴락
덕분에  같이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
김종열
좋은글 감사합니다 ^^
그린낚시
봉돌이 바닥에 다여있을때 목줄이 길면 길수로 본 어신을 보기 까지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작은 입질에도 예민한반응을 볼실려면 채비를 바꾸셔야합니다 좁살채비 또는 군계일학 또는 편대채비 입니다

흙탕물일때 미끼는 저도 잘몰라요^^
하지만 황토물 일경우는 잉어든 붕어든 좋아합니다
그래서 미끼에 황토를 썩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린낚시
외바늘시 목줄의 길이의 길고 잛음의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는 봉돌이 바닥에 다았을때 이야기입니다
목줄의 길이는 보통 7~10센티라고 고수님들이 이야기합니다
이는 붕어가 먹이질을할때 물과 함께 흡입을합니다
물과 흡입을 할때 부드럽게 잘 깊숙이 흡입하라고 7~10센티 라고 하더군요 좀더 잘 흡입을 하게 할려면 목줄에도 빳빳한 소재와 부드러운 소재가있습니다 (이름을 까먹었어요T.T)부드러운 소재로 사셔서 하시면 더 좋을듯합니다 저도 초보이니 참고만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4 올림낚시의 준비(초보편) 댓글4 민물찌 09-23 08:04 7209
63 겨울노지낚시 댓글1 용왕아들 11-27 23:30 7230
62 제가써본 편대채비 맟춤과 실전! 댓글1 파워깡 07-10 11:56 7314
61 똑같은 줄 이라도 강하게 쓰자 댓글12 민물찌 07-11 20:09 7504
60 봉돌푼수와 대의길이 그리고 찌맞춤의 소고 붕어재이 05-03 07:53 7508
59 떡밥 운용술에 대하여... 댓글4 최정탁 06-26 22:51 7537
58 목줄길이와 수심에따른사각지대 붕어재이 05-03 07:54 7548
57 대표적인 형태의 찌 댓글3 민물찌 10-06 09:11 7611
56 좁살채비가 일반 봉돌채비 보다는좋은건가요? 댓글4 현기사 03-07 23:48 7881
열람중 목줄의 차이점?(선배님들 조언부탁) 댓글6 김종열 10-21 10:19 8152
54 편대채비의 챔질 타이밍및 입질형태 댓글1 민물찌 10-27 08:37 8278
53 여름철 밤낚시 요령 민물찌 07-13 09:46 8308
52 철사 편대채비 댓글2 민물찌 07-09 23:23 8375
51 올림낚시 댓글2 최정옥 10-23 17:10 8403
50 빙어낚시 댓글19 입질 12-22 19:08 8451
49 새우낚시 댓글4 송호성 09-02 17:42 8698
48 본 강이있는 본강옆 웅덩이 포인트 댓글9 붕어세상 07-19 22:40 8862
47 낚시중 글루텐 떡밥이 오래되었을때 댓글4 민물찌 06-11 20:59 8986
46 옥수수 미끼(잡어로 부터의 극복) 댓글2 민물찌 06-12 18:00 9067
45 외 바늘채비에 대하여 민물찌 05-28 09:35 9174
44 소류지의 붕어낚시 댓글1 민물찌 05-06 19:24 9205
43 올림 낚시와 긴목줄 댓글6 빙고 12-24 10:39 9220
42 쌍 바늘 채비란 댓글3 민물찌 06-09 16:30 9658
41 잉어 미끼에 관해서 댓글6 호시기 07-21 12:06 9672
40 좁쌉봉동 채비시 밤낚시 문제점 댓글7 놀랜붕어 05-17 21:20 9681
39 편대채비의 모든것 민물찌 10-15 13:08 9752
38 월척 못 낚는 이유있다 발그니 05-03 07:52 9809
37 찌의 선택 댓글5 민물찌 05-13 12:52 9820
36 늦가을 마지막 대물찬스기간 댓글5 붕어세상 10-26 23:22 9832
35 중부지방에서 갓낚시 댓글8 토붕사 07-29 12:09 9926
34 찌 움직임으로본 입질 유형 댓글2 민물찌 06-10 21:36 9945
33 올림낚시에서 찌의 급부상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 댓글12 충청붕어 09-02 14:01 10064
32 찌맞춤 이론의 虛와 實 댓글5 참붕어 11-08 22:55 10572
31 올림채비 댓글6 낚시인 03-12 12:26 10925
30 경남 밀양에 민물새우 서식하는 저수지좀 가르쳐주세요 댓글2 부웅 11-30 23:46 10972
29 초보바늘묶는방법...조언부탁합니다 댓글5 최정옥 10-23 17:12 11871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