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어장낚시"에서는 양어장낚시 기법과 떡밥술등 노하우를 올려 주시면 "포인트 2000점"이 댓글은 "포인트 200점"이 충전 됩니다.

단. "양어장낚시"에 적합치 않은 글과 비방과 조롱의 댓글은 경고 없이 강제 삭제와 포인트가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새우낚시(가을철 새우낚시)

민물찌 3 5,562
          가을철 새우낚시 포인트<br><br><br>  가을철 붕어낚시는 수초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부정하는 꾼은 거의 없을 것이다. <br>수초가 별로 없는 산골짝 계곡지를 제외하고 대부분 수초가 들어찬 경북지방의 저수지에서는 수초를  벗어나서 대어를 노릴 수 없다는 것이 정설처럼 굳어져 있다.<br>  특히 8월 하순에서 9월중순 사이의 초 가을철에는 수초군의 형성에 따라 대형급 붕어를 낚을 수 있나  없나 할만큼 수초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8월 하순은 시기적으로 늦여름에 해당되며 얕은 수심은 여전히 수온이 내려가지 않아 아직 까지 대어보다 잔챙이의 성화가 심한 시기다.<br>그러나 일교차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시기로 이 때부터는 밤 시간대에 붕어의 활성도가 부 쩍 높아지고  회유범위가 넓어지기 시작한다.<br>그래서 초가을 새우낚시는 이 회유성을 감안하여 포인트를 골라야 한다. <br><br>초가을에는 밀집된 수초군이 주 포인트  <br><br>  초가을에는 갈대나 부들 등 정수수초 대를 제 외하고 침수수초인 말풀이나 줄풀류(수세미 풀)가 밀집된 수초대나 땟장수초(잔디수초) 대를 집중 공략해야 한다.<br>특히 말풀류와 땟장수초가 만나는 지점이 가을붕어의 회유목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가장 이상적인 포인트라 할 수 있다. <br>  말풀류는 은신처의 성격이 강하다면 땟장수초대는 먹이 활동을 위한 회유목으로 대어들의 놀이터인 셈이기 때문이다.<br> 땟장수초와 말풀류가 만나는 곳에서는 수초 작업을 하지 않아도 찌를 던져 넣을 수 있는 자연공간이  더러 있다.<br>이러한 자연공간을 찾으면 최상의 포인트가 된다. <br>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완전하게 삭아 내리지 않은 수초와 새로 솟아나는 수초가 뒤엉켜 복잡한 양상을 띄고 있기 때문에 수초작업을 하 여 인위적으로 포인트를 만들어야 한다.<br>또 경북지방의 저수지 중 땟장수초는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말풀만 가득 찬 곳이 많아 자연 구멍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br>그렇기 때문 에 가을철 새우낚시에서 대형급 붕어를 낚기 위하여서는 수초작업이 필수적이다. <br><br>수초 친 자리는 밑밥을 준 후 이틀 뒤 공략<br><br>  수초제거 작업시 대부분의 꾼들은 수초만 적당히 걸어내고 물밑사정을 무시해 버리는 경 향이 있다.<br>그러나 수초가 밀생한 저수지에는 삭아 내린 수초와 온갖 퇴적물이 혼합되어 바 닥이 깊은 뻘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수초 작업시 반드시 바닥사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br> 수초제거 작업을 위하여 던져진 제거기로 수초를 끌어내는 과정에서 바닥층이 뒤집혀 버린다.<br>이때 물 속에서 뻘물이 일어나게 되는 데 뻘물의 확산력은 상상외로 크게 작용하여 순식간에 주변 공간이 뻘물로 덮혀 버린다 극히 짧은 순간에 이루어진 행위로 수면 위의 상황은 금방 안정된 것으로  보여지지만 물 속 사정은 의외로 길어지며 본래의 자연상태로 되돌아가는데는 하루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 다. <br> 그래서 수초를 제거한 당일은 밑밥만 던 져 놓고 일단 돌아갔다가 이틀쯤 후 낚시를 시도함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br>밑밥은 갑자기 뻥뚫린 공간을 경계하기 마련인 붕어를 유혹하기 위한 것인데 삶은 겉보리와 황토를 썩은 것이 가장 좋다. <br> 황토 밑밥은 뻘층이 깊은 곳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므로 가급적 많은 량을 던져주는 것 이 유리하다. <br> 이렇게 밑밥을 치고 2-5일 정도 지나서 그 자리에 들어가면 확실한 조과를 보 장 받을 수 있다.<br>이러한 시간적 여유가 없고 부득이 당일낚시를 해야 할 경우에는 바닥이 깊은 뻘층으로 이루어진 곳을  피하고 마사토 등 바닥이 깨끗한 저수지를 선택하고, 수초작업이 따로 필요 없는 땟장수초가 많이 분포한 곳을 찾아야 한 다.<br>땟장수초는 줄기가 억세고 이리저리 얽혀 있기 때문에 채비가 걸리면 좀체로 끌어내기 힘들다. <br>그래서 반드시 외바늘을 사용해야 하며 대어를 걸면 빠르게 제압해야 하므로 강한 채비가 필요하다. <br><br>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김성우
잘 배웠습니다...
김성우
잘 배웠습니다...
골수꾼
고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4 치어입질과 붕어입질 구분 댓글1 무너미 08-18 01:43 6533
63 ☞ 편대채비의 모든것 댓글1 샘나라 10-30 16:45 6441
62 올림낚시에서 찌의 급부상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 댓글1 충청붕어 09-06 10:46 6408
61 요즘 유료터 채비는 어떻게 하는지?? 댓글1 붕어 07-14 23:00 6328
60 겨울 노지낚시 댓글1 민물찌 11-23 20:34 6180
59 강 낚시 채비법이 궁금합니다. 댓글2 가물치 11-12 07:09 6106
58 낚시비결 댓글2 홍우석 10-16 20:10 6064
57 올림 낚시 챔질 시기 선배 조사님 조언부탁 합니다 댓글10 갈매기 04-24 22:59 5791
56 줄 끼우기즘 댓글1 이윤제 05-15 13:34 5698
55 찌의무게에 관해서...... 댓글1 쏘렌토 07-28 23:51 5697
54 새우낚시의 위력 댓글1 민물찌 10-27 12:42 5598
53 ☞ 늦가을 떡밥종류와 좋은배합 댓글2 민물찌 10-28 17:50 5577
열람중 새우낚시(가을철 새우낚시) 댓글3 민물찌 09-08 10:18 5563
51 기초 이해-새우미끼의 장점 댓글2 민물찌 10-14 21:51 5539
50 잉어 어떻해? 댓글2 홍우석 10-16 20:07 5526
49 찌낚시와 찌올림 댓글10 생자리 04-04 13:20 5498
48 좁살채비에서 영점찌맞춤하고나서..... 댓글1 현기사 03-04 23:12 5480
47 최고의 찌라...==* 잉킬 07-19 13:13 5473
46 배수기 붕어 이동로 댓글1 민물찌 06-09 22:32 5427
45 떡밥 운용술에 대하여... 댓글2 최정탁 06-28 10:54 5407
44 두번째 단 부러졌는데...A/S되나요? 댓글2 붕어 따라잡이 12-27 16:20 5374
43 낚시대의 선택(초보편) 댓글1 민물찌 09-29 09:13 5312
42 겨울철 계곡지 물낚시 민물찌 02-09 21:14 5285
41 새우만으로 밤 낚시를 댓글4 민물찌 12-03 09:34 5249
40 생자리 포인트를 개발하자 댓글3 민물찌 08-19 11:08 5219
39 산란시기 어디가좋을까? 댓글1 민물찌 05-03 07:56 5097
38 낚시대의 선택 댓글3 민물찌 01-11 10:36 4864
37 년중붕어활성도 참고..... 붕어재이 05-03 07:53 4727
36 새물찬스를 노려라 붕어재이 05-03 07:52 4669
35 민물과물때 댓글6 고주망태 02-10 19:25 4669
34 평지지는 사철낚시터 민물찌 01-08 21:15 4587
33 겨울노지낚시 댓글1 용왕아들 11-21 21:52 4542
32 가을철 붕어의 놀이터는??? 민물찌 05-03 07:55 4538
31 ☞ 늦가을 수초가없는저수지 포인트선별방법 댓글2 민물찌 10-31 09:04 4438
30 최고의 찌에 관해서 여쭤봅니다 댓글1 호시기 07-17 21:45 4435
29 빙어와 참붕어 미끼 댓글2 빙어아들 12-24 16:25 4393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