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어장낚시"에서는 양어장낚시 기법과 떡밥술등 노하우를 올려 주시면 "포인트 2000점"이 댓글은 "포인트 200점"이 충전 됩니다.

단. "양어장낚시"에 적합치 않은 글과 비방과 조롱의 댓글은 경고 없이 강제 삭제와 포인트가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목줄의 차이점?(선배님들 조언부탁)

김종열 6 8,128
외바늘시 목줄의 길이의 길고 잛음의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목줄을 길게 하면 약한입질에 좋다고 하는
말도 있고해서요
그리고
저수지물이 공사로 인해서 몇년째 흙탕물인데요
미끼는 무엇으로 하면좋을까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김종열  로열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채도영
목줄 잘 배웠습니다
물안개
제가 쓰는 목줄과 바늘 운용술을 알려 드립니다.
먼저 바늘에 대한 일반적인 상식입니다.  첫째 대상어가 붕어일 경우 고기의 크기에 잦대를 두기보다는 그날의 일기.또는 물색.그리고 미끼에 우선합니다.  날씨가 차면 찰 수록 대물이 아닌 작은 고기일수록 그 입질의 범위가 줄어듭니다.  한여름에 떡밥미끼로 쭉쭉 올려주던 입질이 겨울에는 아예 손을 대지 않지요,  또 물색이 탁한곳에서는 무슨 미끼를 쓰던 마구 물어주던 물고기들이 물색이 맑은 곳에서는 해가 져야만 한다거나 흐린날.비온뒤에 입질하는 곳도 있구요. 이러한 일기 변화나 잒시 여건이 변할경우, 그래서 입질이 시원하지 않을경우 일단 바늘을 작은것으로 바꾸십시요.  혹시 이 바늘이 너무 작아서 고기가 걸리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은 버리십시요.  고기만 근처에 있으면 무조건 걸립니다.  예를 들자면 양어장 낚시에서 예민한 입질을 극복하기 위해 바늘을 적게적게 쓰는데 일반인들은 과연 이 바늘로 고기를 잡을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의 바늘을 쓰기도 합니다.  이럴때 바늘의 지름이 채2mm가 안되는 경우도 있지요. 
목줄의 이야기에서는 김종열님은 외바늘을 쓰신다고 하셨는데,  통상 외바늘은 수초낚시나 새우낚시에 많이 쓰는 채비법이지요.  그럴려면 일단 목줄이 굵고 짧아야 합니다.  목줄이 길면 소초에 걸리거나 감길 우려가  많구요 또 가늘면 잘 터집니다.  또 목줄의 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찌에 전해시는 본신의 찌올림 반경이 넓어집니다, 다시말해 목줄이 짧을수록 찌가 많이 솟아 오른다는 말이지요, 이는 붕어의 먹이 습성이 일단 흡입을 위해 수평인상태에서 머리(주둥이)가 땅바닥의 바늘쪽으로 숙였다가 흡입한 후 다시 수평을 잡는 각도(잔챙이 일수록 그 각도는 같으나 찌올림 폭은 좁음)에 따라 찌올림 폭이 차이가 나는데 목줄이 긴 만큼 그 찌올림폭이 줄어든다는 것이지요. 
저는 현재 외바늘 새우낚시를 즐겨 합니다만 바늘은 엄청 큽니다(일반적임) 그리고 목줄의 길이는 5~7cm정도를 주로 사용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쥐락펴락
덕분에  같이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
김종열
좋은글 감사합니다 ^^
그린낚시
봉돌이 바닥에 다여있을때 목줄이 길면 길수로 본 어신을 보기 까지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작은 입질에도 예민한반응을 볼실려면 채비를 바꾸셔야합니다 좁살채비 또는 군계일학 또는 편대채비 입니다

흙탕물일때 미끼는 저도 잘몰라요^^
하지만 황토물 일경우는 잉어든 붕어든 좋아합니다
그래서 미끼에 황토를 썩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린낚시
외바늘시 목줄의 길이의 길고 잛음의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는 봉돌이 바닥에 다았을때 이야기입니다
목줄의 길이는 보통 7~10센티라고 고수님들이 이야기합니다
이는 붕어가 먹이질을할때 물과 함께 흡입을합니다
물과 흡입을 할때 부드럽게 잘 깊숙이 흡입하라고 7~10센티 라고 하더군요 좀더 잘 흡입을 하게 할려면 목줄에도 빳빳한 소재와 부드러운 소재가있습니다 (이름을 까먹었어요T.T)부드러운 소재로 사셔서 하시면 더 좋을듯합니다 저도 초보이니 참고만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4 찌의 선택 댓글5 민물찌 05-13 12:52 9750
63 왕초보 인사올립니다...궁금사항.. 댓글5 가시야 04-16 12:35 3753
62 원줄의 종류와 특징 댓글1 니캉내캉 03-07 17:27 6682
61 흐르는 물에서의 낚시 댓글3 니캉내캉 03-07 17:23 6915
60 민물과물때 댓글6 고주망태 02-10 19:25 4675
59 겨울철 계곡지 물낚시 민물찌 02-09 21:14 5290
58 빙어와 참붕어 미끼 댓글2 빙어아들 12-24 16:25 4403
57 ☞ 빙어와 참붕어 미끼 빙어아들 12-26 17:05 3122
56 겨울노지낚시 댓글1 용왕아들 11-27 23:30 7182
55 겨울 노지낚시 댓글1 민물찌 11-23 20:34 6189
54 겨울노지낚시 댓글1 용왕아들 11-21 21:52 4549
53 가르침을 주세요 용왕아들 11-18 12:00 3523
52 ☞ 가르침을 주세요 댓글5 붕어재이 11-19 08:31 3462
51 초짜의 설움 댓글4 초짜꾼 11-15 15:43 4133
50 민물찌님! 편대채비에 대해서 질문이 있는디요 댓글1 현이아빠 11-14 17:48 6960
49 강 낚시 채비법이 궁금합니다. 댓글2 가물치 11-12 07:09 6123
48 밑에글제가보고배운점이많아서올린겁니다^^ 참붕어 11-09 21:26 3166
47 찌맞춤 이론의 虛와 實 댓글5 참붕어 11-08 22:55 10486
46 올림낚시 채비법(초보편) 댓글4 민물찌 11-07 20:06 14345
45 표준 찌맞춤(올림 초보편) 댓글3 민물찌 10-31 11:58 13624
44 편대채비 찌 맟춤 사진 댓글1 민물찌 10-31 10:09 12512
43 늦가을 수초가없는저수지 포인트선별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참붕어 10-30 22:51 3436
42 ☞ 늦가을 수초가없는저수지 포인트선별방법 댓글2 민물찌 10-31 09:04 4445
41 늦가을 떡밥종류와 좋은배합을알고싶습니다 참붕어 10-28 16:12 4222
40 ☞ 늦가을 떡밥종류와 좋은배합 댓글2 민물찌 10-28 17:50 5587
39 편대채비의 챔질 타이밍및 입질형태 댓글1 민물찌 10-27 08:37 8267
38 낚시비결 댓글2 홍우석 10-16 20:10 6073
37 잉어 어떻해? 댓글2 홍우석 10-16 20:07 5531
36 편대채비의 모든것 민물찌 10-15 13:08 9746
35 ☞ 편대채비의 모든것 댓글1 샘나라 10-30 16:45 6446
34 낚시대의 선택(초보편) 댓글1 민물찌 09-29 09:13 5316
33 올림낚시의 준비(초보편) 댓글4 민물찌 09-23 08:04 7156
32 치어입질과 붕어입질 구분 댓글1 무너미 08-18 01:43 6540
31 찌의형태 댓글2 민물찌 07-30 10:53 6717
30 찌의무게에 관해서...... 댓글1 쏘렌토 07-28 23:51 5708
29 잉어 미끼에 관해서 댓글6 호시기 07-21 12:06 9613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