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돌푼수와 대의길이 그리고 찌맞춤의 소고

붕어재이 0 7,662
안녕하십니까??붕어재이 입니다.<br>찌한마디님의 질문을 한번씩 받을때마다 참으로 냉철한 질문만 꼬집어 내던지는것 같습니다.<br>님의 질문에 간략히 제 소견을 올려보겠습니다.<br>통상적으로 우리는 대의 길이에 맞게 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br>대게가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에 맞는 같은 푼수의 찌를 통일하여 사용하죠...(저는 4.5푼~ 5푼찌 사용)<br>하지만 보다 정교한 낚시와 합리적인 낚시를 추구하자면 대의 길이에 따라 찌푼수 또한 올라가는 것이 정당한 방법입니다.<br>예를 들어 2칸 대에 4푼찌는 투척 또한 아무른 무리없이 가능하지만 3칸 이상일때는 약간의 부담감도 따르게 마련입니다. 물론 바람불지 않는 좋은 날씨 같으면 아무른 영향은 없지만 어디 낚시다니다 보면 바름불지 않는날 잘 없죠....긴대는 가급적이면 투척시 편리한 약간 무거운 푼수(7푼정도)를 사용하는것이 편리합니다. 강낚시를 할때도 역시 4-5푼 찌보다는 7푼정도의 찌가 강물흐름을 들 탑니다. 똑 같은 영점찌맞춤이면 어차피 부력은 제로인데 다를빠가 뭐가 있게냐고 반박하실지 모르겠지만 엄연히 차이가 납니다.<br>그리고 대게 저부력찌를 사용시 투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봉일경우 한바늘에는 떡밥을 크게 달아 투척을하는 방법을 다들 구사하게 되는데...왠지 껄꺼로운 부분도 없잖아 있습니다. 동일한 형태와 동일한 부력의 찌를 사용하게 되면 모든면에서 편리한점이 많습니다. 입질유형이 유사하여 챔질타이밍을 잡기가 좋다는게 가장 장점이며...채비교체시 번거로울것없이 어디던지 사용가능한 편리함 기타등등.....<br>편안한 낚시를 추구하자면 동일한 찌 사용..아니면 보다 체계적이고 정교한 낚시를 요한다면 대길에 적당한 찌를 선택 사용하는것이 좋겠습니다.(둘중 택일 방법 제시....)<br>그리고 찌맞춤에 대한 의견을 제시 합니다.<br>초봄에 맞추어 놓으신 영점 맞춤이라 하셨는데...초봄과 같은 예민한 찌맞춤으로서는 물이 흐르는 강이나 수로낚시에서는 적절한 찌맞춤은 아닌것 같습니다. <br>물이 흐르는 수로나 강에서는 유속에 맞게끔 찌맞춤을 어느정도 무겁게 사용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그렇게 되면 예민한 입질을 받는데는 다소 불리한점이 있지않나 반박 하시겠지만...<br>천만에 말씀입니다. 흐르는 물에는 원줄도 물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찌맞춤이 약각 무겁더라도 고기가 목줄을 약간만 건드려도 오히려 물흐름이 없는 저수지에서의 영점맞춤 보다 물흐름의 원줄 흐름에 의해 찌솟음이 더 좋게 나타납니다.<br>그리고 강붕어 역시 입질의 강도도 좋을 뿐만아니라 0.5푼에서 1푼정도의 무거운 찌맞춤 정도는 이런한 요인으로 인해 충분히 극복이 되니 그렇게 정교한 찌맞춤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해가 가셨는지 모르겠군요.....<br>그리고 강에서의 중층채비 말씀하신데로 바닥낚시 채비도 흘러갈판에 중층채비라면 끝없이 흘러 간다는 말씀이 맞습니다.<br>중층채비 낚시라고 해서 꼭 바늘을 물위에 뛰우는 낚시는 아닙니다. 중층낚시도 한바늘 바닥 닿기 채비가 있고 두바늘 바닥 닿기 채비가 있습니다. 이런한 응용기술을 습득 하신다면 강에서도 충분히 중층낚시를 즐길실 수 있습니다. <br>한바늘 바닥 닿기와 두바늘 바닥 닿기는 떡밥으로 조절하시면 무리없이 구사 할 수 있을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글로써 답변드리기가 조금 뭐하네요...다음에 뵐 기회가 되면 그때 실질적인 방법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br>위의 내용에 대해서는 어는정도 이해가 가셨을줄 믿습니다.<br>그래도 이해가 가지 않으시면....다음 번출이나 정출때 보다 많은 대화로써 해결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br>끝까지 읽어주셨어 감사합니다. 이것은 단지 제 소견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br>그럼 좋은 하루되십시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6 양어장에서의 외통채비... 댓글2 선일아빠 07-09 13:32 962
135 경기 시흥 목감 왕골낚시터 출조 댓글1 수원꽝맨 12-19 16:15 1665
134 잉어낚시... 댓글4 청풍에명월 03-07 12:17 3226
133 빙어낚시 댓글19 입질 12-22 19:08 8679
132 외통낚시 채비 잘 아시는 선배닙께 조언 부탁 드려요~ 댓글15 광철 11-19 12:43 27817
131 일반도래와 핀도래의 차이점 댓글12 굳맨 11-13 20:28 16509
130 중부지방에서 갓낚시 댓글8 토붕사 07-29 12:09 10150
129 낚시대 손잡이 수축고무를 감을때..... 댓글40 케미 05-22 09:36 17206
128 경남 밀양에 민물새우 서식하는 저수지좀 가르쳐주세요 댓글9 이상훈 10-09 12:31 14208
127 경남 밀양에 민물새우 서식하는 저수지좀 가르쳐주세요 댓글2 부웅 11-30 23:46 11208
126 올림낚시 찌맟춤(답은 없지만) 좀 갈켜주세요~~ 댓글16 대박 06-23 13:28 23092
125 찌의 간과하기 쉬운 행위(1) 댓글23 생자리 05-07 16:12 21304
124 찌의 간과하기 쉬운 행위(2) 댓글26 생자리 05-07 16:24 17712
123 바닦의 조건이 아주 사나운곳에서는 어떤 채비법을 해야하나요? 댓글9 박준한 04-06 15:14 14427
122 중앙 삼봉 편대채비 댓글2 생자리 03-17 01:12 20285
121 미늘 없는 낚시 댓글23 생자리 12-16 18:06 13681
120 낚시가 잘되는날 댓글27 생자리 12-12 13:24 18374
119 늦가을 마지막 대물찬스기간 댓글5 붕어세상 10-26 23:22 10081
118 올림체비로 내림낚시를 즐기는 방법(개인생각) 댓글10 박성욱 10-26 16:11 19506
117 수조에서의 찌맟춤및 현장 활용법 댓글10 붕어세상 09-27 15:26 16880
116 헛 챔질을 줄이는 방법은 댓글6 붕어세상 09-15 11:04 19229
115 새우낚시 댓글4 송호성 09-02 17:42 8945
114 떡밥은무얼어떻게.... 댓글2 김인섭 08-21 12:19 12259
113 쌍봉에..감성돔바늘.. 댓글1 정호열 08-06 19:37 7130
112 본 강이있는 본강옆 웅덩이 포인트 댓글9 붕어세상 07-19 22:40 9086
111 강붕어 낚시의 포인트 댓글11 붕어세상 07-14 09:57 15381
110 올림낚시 찌맞춤 동영상 댓글12 주진용 04-17 12:57 35225
109 하우스 낚시터 좀 가르쳐주세요. 댓글5 최치문 01-11 17:29 12808
108 얼레벌레 채비가 있다고 하던데... 댓글10 전한배 01-04 00:20 30990
107 얼레벌레 채비가 있다고 하던데... 전한배 01-09 12:12 16358
106 두번째 단 부러졌는데...A/S되나요? 댓글2 붕어 따라잡이 12-27 16:20 5677
105 찌맞춤 댓글17 angelo 10-26 23:26 18544
104 초보바늘묶는방법...조언부탁합니다 댓글5 최정옥 10-23 17:12 12162
103 올림낚시 댓글2 최정옥 10-23 17:10 8641
102 목줄의 차이점?(선배님들 조언부탁) 댓글6 김종열 10-21 10:19 8416
101 올림낚시에서 찌의 급부상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 댓글12 충청붕어 09-02 14:01 1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