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Q&A"에서는 낚시에 모든 궁금 한것을 올려 주시면 "포인트 1000점"이 댓글은 "포인트 200점"이 충전 됩니다.

단. "수제품 제작"에 적합치 않은 글과 비방과 조롱의 댓글은 경고 없이 강제 삭제와 포인트가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저수지의 물색변화에대하여~~~~

서울산 8 3,005
몇일전 날씨가 너무나 따사로와서 저수지에 낚시를 갔습니다
손맛이 그리울때 채비와 낚시대의길이상관없이 손맛을 볼수있었던 곳이 었습니다    미끼도 아무거나 잘먹히는곳이었습니다
주어종은 토종붕어이지만 나름 내림이나 중층늘하면 꽝은 없던곳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날은 12척을펴고 밥도 나름대로 잘만들어서 낚시를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자세히보니 산속에서 유입되던 물이 흐르지않았고  저수지의물색또한
 몇일전과는 너무 많이 변해있었습니다 
더러워진것이아니라 너무 맑게 변해 있었습니다
  (궁금한점)
1.새물이 유입되지않으면 물색이 탁해지지않나요??
2.살얼음이 얼었다가 녺으면 물색이 변하나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서울산  실버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이정규
새물이 유입되어도 유입되고 시간이 흐르면 물색은 다시 맑아집니다 또한 새물유입의 양도 물이 다시 안정되는 시간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살얼음으로 물색이 변하진 않을것입니다. 일종의 턴오버 현상인데 그것은 저수지의 물 거의 전체에 영향을 받는것으로 주로 가을철에 윗부분의 수온이 갑자기 낮아지면서 아래층의 수온과 대비하여 낮은 수온의 상층부가 하층부와 자리를 바꾸게 되는 경우입니다 턴오버 현상이 나타나면 물색이 흐려졌다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 안정이 되면 오히려 저수지의 물색은 전보다 더 맑아집니다 만약 살얼음이 낀 기간이 턴오버 현상을 일으키는 시기와 맞물렸다면 그렇게 느낄수도 있겠지요....수온이 내려가는 시기에 찬 기온으로 턴오버 되기 직전에 살얼음이 얼었다면 더욱 빨리 턴오버 현상을 재촉했을수도 있겠군요~
이정규
헉~ 모르는거 정말 많습니다 저도 모르는게 너무 많아 항상 서핑을 즐기는 편입니다~
ㅎㅎㅎ
답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서울산
이정규님감사합니다!!
그런데요  다른분들께서 답글을 올리시지않으셔서한가지 더 여쭤보고싶습니다
턴오버현상은 상층부와하층부가바뀌면서 하층부에 있던 흙이나 수초등이같이올라와서
물색이 많이 탁해지는것으로알고있습니다..........특히 그저수지에  새물이유입되지않고
있는 상황이라서요..  물의흐름이있어야 그짧은 시간안에 물색이되돌아오지않나요???
참~~~~기가막힙니다...누가 간밤에 저수지 물을 다 빼고  청소를한것도아닌데  분위기
자체가 너무변해버려서요~~~~
2m가더나가는수심의 바닦상황이 훤히 보이더라구요???
그리구요~~하우스에서도 턴오버 현상이생기면 낚시를 어떻게 해야할지요???
하우스낚시를하다보면  혼자만의 생각인지는 모르겠지만  밤12시가되면  현상이조금씩
생기는느낌이들던데요??
다른분들께서는 농담삼아 "고기도잠자는시간이다"라고하는데요  제생각이맞는지요???
이정규
턴오버 현상에 대해 더 자세한 부분은 솔직히 저도 궁금한게 많은게 사실입니다
그리고 턴오버 현상에 대한 설명대로 물색이 일단 탁해지는게 맞습니다만 꼭 그렇게 되진
않는다고 하더군요~ 그러니까 그렇게 많이 물이 탁해졌다가 맑아지는 경우로만 이루어지진
않는다는거고 저수지의 특성이나 지형 또는 지역적 특색에 따라 물색이 그렇게 많이 탁해졌다가 다시 맑아지는 형태만 있는게 아니라는거죠~ 그리고 물 흐름이 있다는것은 새물도 들어온다는거니 꼭 흐름이 있어야 빠른게 아니라 오히려 더 안정적으로 물이 위치를 바꿀수도 있다고 사료됩니다.
하우스에서 가끔 보이는 그런 현상은 대류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우스에서도 수온의 변화는 분명 일어나는거고 그러다 보면 탁해지는듯 하다가 다시 맑아 지기도 하죠 또한 하우스는 고기들이 전부는 아니겠지만 녀석들끼리 몰려다니기도 하므로 고기들의 물살에 의해 바닥에 있던 감탕이나 흙먼지가 날리는 경우도 있구요....
하우스에서의 낚시상황은 같은 하우스에서도 매일매일 달라지기 때문에 그럴때마다 어떻게 하면 낚시가 잘되고 어찌하면 안된다는 정답은 없습니다.
요즘같은 동절기에 하우스에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과다집어제사용의 절대금지
입니다 집어제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주변에 흩날리는 집어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므로 오히려
입질은 더더욱 뜸해집니다. 소량의 집어제를 최대한의 효과를 낼수 있도록 한자리에 안정적으로 넣어주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게 동절기엔 가장 중요한점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고기의 입질 시간대도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일몰전후 일출 전 등등이 있습니다만 그것도
날씨와 기압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모두 다 그것만이 정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붕어가 먹이를 흡입하는 경우의 수가 너무나도 다양하고 많기 때문이죠
그날그날 전반적인 분위기를 빨리 파악하고 입질 패턴을 빨리 파악하며 입질을 하다가도 건드림이 적어진다면 분명 뭔가가 변했다는 것을 캐치하고 이유를 찾아 해결하는 낚시를 하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서울산
감사합니다  저는 나이가 어립니당~~넷상에서 인사하실때 말씀낮추세용~~~
좋은 정보감사드리고 다음에 궁금한점올리게되면 좋은답변부탁드립니다
동동
예전에 F TV 에서 송귀섭씨가 했던 말이 생각나서 몇자 적어봅니다.비가 많이 온다든가 기타 자연현상에의한것이아닌 기온이 올라가면서 물색이 탁해지는것은 수중에 플랑크톤이 번식을 한다는 증거랍니다. 플랑크톤이 번식을 하면 붕어도 먹이활동을 하기때문에 붕어가 잘 잡히고요, 물색이 맑다는 것은 플랑크톤이 거의 없는 증거이기때문에 물색이 맑으면 조황이 안좋다는 말을 하더군요. 저도 경험을 해본지라 그말은 잊혀지질 않더군요.
서울산
동동님 저도 생각해보니 어디선가 들어본 글인것같습니다
ㅎㅎ 답변감사드립니당
만년하수
물색이 맑은 계곡같은곳은 플랑크톤이 거의 없어서 <BR>붕어가 살지 못하죠 ㅎㅎ <BR>옛말에 맑은물에는 고기가 없다고 하죠 <BR>그게 플랑크톤이 없어서 붕어들이 없는거 같아요 ㅋㅋ<B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78 중국붕어 중층낚시 좀 알려주세요 댓글8 외바늘짱 10-21 23:54 3021
577 고수님들 스위벨채비 질문 및 문의 드립니다 댓글1 해추니 11-13 18:52 3017
576 세미 고수님들 보세요~~~~~~~ 댓글8 rp7000 01-19 23:23 3011
575 만력기(대포클램프)에 도장하는 방법 댓글5 대붕인 08-17 18:24 3010
574 새우미끼를 쓸경우??? 댓글13 이강원 10-14 08:26 3009
573 내림낚시의 목줄길이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댓글6 팍스 02-02 03:25 3008
572 중층대에 관해서 고수님들꼐 물어볼꼐잇습니다 댓글2 낚시가좋아 09-15 20:10 3006
열람중 저수지의 물색변화에대하여~~~~ 댓글8 서울산 02-07 00:09 3006
570 수심 3미터 정도에서 내림낚시 할때..... 댓글11 다잡아 06-16 10:18 3005
569 피싱짱님 조언좀여쭈어봅니다. 댓글12 정조사 02-26 21:58 3004
568 경주 새마을 낚시터 가는 길 댓글2 우람이 09-03 11:35 3003
567 목줄이 길수록 터짐에 유리한가요? 댓글4 누런붕어 10-14 01:16 2990
566 세미단차 찌맟춤법을 알고싶어요 댓글3 아름다운사람 03-09 00:14 2986
565 낚시 왕초보 질문 들어갑니다. 댓글5 강기원 10-24 20:03 2984
564 가르쳐주세요 댓글10 슬애비 11-29 21:51 2982
563 합천호에서 통하는 쵸친낚시 떡밥배합술 좀 전수해주세요. 댓글5 피리시러 07-15 19:35 2980
562 채비가 내 앞으로..... 댓글1 포언더 05-03 07:39 2978
561 내림찌 궁금한게 있어 글올립니다. 댓글6 신위 11-13 21:49 2978
560 련과 남수중 어느것이 괜찮나여? 댓글3 라면한사발 07-18 04:00 2976
559 초친세트낚시 잘하는 방법좀알려주세요 댓글6 빵야 03-16 01:06 2975
558 자꾸 찌가 가라앉을때 대처방법좀요. 댓글6 뽕닙 11-07 18:06 2969
557 합천호에서 떡쳐봤으면~ 댓글10 피리시러 08-11 08:43 2966
556 대류가 있는 손맞터에서 어떤찌을 선택해야하나요. 댓글15 무예생활 03-22 16:00 2964
555 내림낚시대,내림찌좀 추천해주세여 댓글3 야로 06-09 14:56 2956
554 나 원참 댓글16 rp7000 01-15 21:29 2945
553 일천 8척10척 사용중인데요(목줄터짐현상) 댓글10 베아트리체 09-29 19:16 2940
552 산란기 잉어와 떡붕어 번식에 대해.. 댓글4 불꺼슛 06-07 10:16 2939
551 중층낚시 동호회 댓글7 배써 11-29 20:54 2938
550 중층 찌선택 도와주시길.. 댓글9 무미늘조사 08-06 12:27 2935
549 도로로 사용시 찌 사용 댓글4 우람이 08-19 01:41 2934
548 대미야찌 추천 좀 해주세요 댓글3 만초 01-26 14:09 2930
547 중층대 시마노 일본내수용 AS문의 댓글4 욱이 06-17 17:27 2928
546 오동 보관함/찌케이스 리스칠 해도됩니까? 댓글4 누네띠네 09-30 16:56 2928
545 낚시대 기포 댓글13 폴로내림 12-24 23:11 2928
544 여친과함께갈만한중층터 댓글10 왕떡 08-05 13:22 2925
543 떡밥낙하속도? 댓글7 외바늘짱 02-02 01:05 2925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