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Q&A"에서는 낚시에 모든 궁금 한것을 올려 주시면 "포인트 1000점"이 댓글은 "포인트 200점"이 충전 됩니다.

단. "수제품 제작"에 적합치 않은 글과 비방과 조롱의 댓글은 경고 없이 강제 삭제와 포인트가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슬로프 낚시 입질에 찌가 올라간다??

깜장낚시대 8 5,888

중층 낚시 시작한지 몇일 안되는 초보입니다.
중층 낚시를 시작하면서, 찌맞춤에 대해서 좀더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인데요.

무식한 질문일것 같은데, 제가 잘 이해가 안되서요.

슬로프 낚시에서는 긴 목줄의 바늘이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인데,
그렇다면, 이미 한 바늘 무게는 무시가 된 상태로,
찌는 서있는 상황 아닌가요?

그런 상황이라면,
긴 목줄에 있는 바늘을 붕어가 먹고 위로 뜬다해도,
목줄길이 이상으로 떠서,
편납을 들어주지 않는한은 찌가 뜰일이 없을거 같은데,

인터넷을 찾아보면, 목줄이 슬로프된 그 모양 그대로 찌가 뜬다는 글도 있고 하네요?? 그럴수가 있나요?

또 짧은 줄에 바늘을 문다 해도,
마찬가지로 무바늘 찌맞춤에 맞췄던 목수 이상으로는 찌가 안올라 갈거 같은데요.
(편납을 들어올리기 전엔, 두 바늘의 무게가 없어졌으므로, 무바늘 찌 높이만큼만. )

중층과 마찬가지로 빨리는 입질을 보는것이라 해도,
제 수준에서 생각할땐, 슬로프 낚시라는건 입질 보기가 참 까다로울 것 같은데,
인터넷에 글들 보면, 참 많이들 하시고, 좋은 조과를 보시는것 같아, 이해가 잘 안되네요.

두바늘 바닥에 닿은 상태라면, 빨리는 입질도 어려울것 같고,
위에 말씀 드린 이유로 찌를 올리는 입질도 어려울것 같고,

차라리, 그냥 전통 바닥 낚시가 나은게 아닌건지요.

무식한 질문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깜장낚시대  실버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깜장낚시대
참고로 저는 슬로프 낚시를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공부를 하다 보니 궁금해서요.
뜨은붕어
부족하지만 제 생각 몇자 적어봅니다.

우선 채비를 머리속에 그려보세요. 찌가 서있고 봉돌(편납)이 떠 있습니다.
두바늘은 바닥에 닿아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슬로프를 많이주는 형태로...

붕어가 먹이를 취하는 과정 또한 그려봅니다. 입으로 떡밥을 흡입하고 그 뒤 계속해서
입에서 먹이가 남아있다면(뱉어버리지않고) 어느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뒤로또는
위쪽으로 부상할것입니다.->이런입질패턴이 전통 바닥낚시 입질과 찌올림의 형태
입니다.

중층 전층 또는 내림... 여튼 기법이조금은 다르지만 대상어종의 회유층을 어디에다 포커스로할것인가에 따라 용어차이가 나는 것 같은데요,

붕어가 먹이를 흡입하는 바로 그 때 찌가 쏙하고 빨려들어갑니다. 상황에따라 찌를 끌고 들어가듯 강한 입질도 있고 약한입질도 있지요.
그러한 입질이 전달되는 형태가 바로 슬로프낚시의
챔질시기가 되고 그 표현을 읽고 챔질을하게 되는 것 입니다.

깜장낚시대님께서 말씀하신 이론이라면 목줄이 50cm라면 약 1미터는 부상한 뒤 찌가 올라오는 형태를 보이겠지요. 그것은 전통바닥낚시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오히려 더 힘든낚시가 되겠지요.

그래서 바닥낚시는 목줄이 짧을 수 밖에 없어요. 목줄길이의 곱하기2정도의 길이를
붕어가 부상해야 찌에 입질이 전달되니까요...

전반적인 내림또는 전층낚시기법의 이론을 살펴보시면 좀 더 재미있는 부분을
발견하실 수 있을겁니다.

간단한 부분을 장황하게 말씀드렸습니다....
뜨은붕어
내림낚시에서 슬로프를 주면 붕어는 더욱 이물감없이 흡입하는 것 같습니다.

입질이 더 확실하게 표현됩니다.

찌는 더욱 간결하고 깊게 두세마디 쏙 하고 들어가게 되죠

슬로프낚시에서 바늘에 달려있는 글루텐을 붕어가 흡입하면 그 흡입정도가

찌에 표현됩니다. 그것이바로 내림낚시의 묘미라할 수 있구요...

그래서 간혹 내림과 올림을 같이하면 내림이 더 빠르고 많은조과를 보일때가 있습니다.

결코 예민한 채비로 예민한 입질을 보고 챔질하는 것이 아니라, 입질이 찌에 전달되는

방식을 조금 변형해서 더 빨리 찌에전달되게하는 것이고 따라서 단 몇초라도 더 빨리

챔질을 하게되는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여타 많은 부분이 있습니다. 즐기기위한 낚시가 스트레스로 다가올까봐 조금 걱정됩니다

붕어가 안물어주면 어떤 패턴이던 말짱꽝이겠죠^^

낚시 초보인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깜장낚시대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종종 슬로프 낚시의 본신을 찌올림으로 표현하는 글들이 있어, 찌올림은 아니지 않은가 싶은 궁금함에 글 올렸었습니다.

제가 말씀 드렸던 상황이 여기에 그림으로 잘 표현이 되어 있네요.
http://blog.daum.net/ilove498/7972534

어째튼 찌올림 형태는 분명 바닥낚시보다는 불리한 채비이고,
찌가 빨려 들어가는 입질을 봐야 하는데, 찌가 빨리는 입질은 내림 낚시보다 불리할것 같은 생각이 여전하네요.

슬로프 즉, 목줄을 경사지게 뉘어 놓는 형태의 장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이물감을 없애 미끼를 확실히 먹게 하고,
  그 둔한 형태의 채비에 신호가 왔을땐, 확실한 본신으로 받아들여,
  헛챔질 없이 높은 확률로 붕어를 걸어낸다.

이것일까요?
조선하니
슬로프낚시에선 붕어가 흡입하면 찌가 살짝 올라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붕어가 흡입한채로 이동하면 더 올라올수도 있습니다
호된시련
아주 단순합니다..
절대  처음에 붕어는 찌올림을 하지 않읍니다
첨 찌내림을 하는 것을 표현 하지 못하는 채비 맞춤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낚시줄을 절대 팽팽 하게 있지 못합니다
물속의  여러 사정과 당자사의 채비 맞춤의 오류 또한 바람  붕어들의 건드림 등등
결국 그런 이유에 붕어가 빠는 폭만큼을 찌에 전달해 주지 않으면
찌가 움직일수 없고  결국 삼커 물고 도망가는 과정에 위로 떠서 가면
찌올름이 나오고 옆으로 째서 가면 찌가 팍 사라지는 현상이 나옵니다
그 부분을 관가 하고 이해 못하는 분들이 하는 가장 많은 이야기가
슬로프로 조정 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마니 늘어지면 붕어 의 입질보다 줄이 긴장감이 없어서 찌가 안 움직이고
살짝 떠있으면 붕어가 먹어도 입에 안들어간다는 이상하지만 살짝 말 들어 맞는
논리로 입각해서 하는 찌맞춤의 방법입니다
사실..저의 생각에는 긴바늘의목줄은 절대 늘어져 있으면 안되고 물속의 상정상
대류  수류 고기의 몸짓 등등.,,될수 없읍니다 또한 그러면 입질 표현도 이상하고요
뽀샤시
일단 질문하신 내용을 제가 정확히 이해를 못 했을수도 있습니다.
어쨋든 현장의 상황이란 건 이론대로 나오지는 않는다..라고 답변 드리고 싶네요.

제가 질문한 번 던져보죠.

최초 빈바늘 찌맞춤이 몇 시간이 지나도 똑 같을까요?

아닐겁니다.
이유는 많겠지만 제가 경험한걸 토대로 말씀드리면,
찌가 안 좋아서 인지, 수온의 차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낚시하다가 찌 맞춤이 달라집니다.
혹은 바람부는 정도가 달라질 때나 대류가 생겼을 때 찌 맞춤이 달라집니다.
원줄이 제대로 가라않지 않아도 찌 맞춤이 2목 이상 차이납니다.

한가지 진리는 있죠..
찌는 봉돌(편납)이 움직여야 찌에 표현이 됩니다.
이 부분은 절대적이죠.
질문하신 게 긴 목줄만 올라가고 봉돌은 올리지 않았을 때 올리는 입질이 생길 수 없다는 것 같은데요..생각하신대로 그럴 수 없습니다.
다만 이유야 어쨋든 봉돌은 올라갔다는 거죠..
수조에서 시험해 보시면 금방 아실겁니다. 긴 목줄을 올리면 봉돌은 움직입니다.^^
아마도 빨리는 입질이 표현이 안 되고 전통낚시의 그것처럼 올리는 입질로 표현되는 상황이겠죠.

슬로프 낚시의 장점..
역시 제가 아는 한도에서 답변드리면, 목줄에 긴장감이 커서 수직으로 있는 경우(중층포함)보다 바닥에 수평으로 누워 있는 경우 붕어가 흡입하기 수월해 지고 이물감을 덜 느낀다..일겁니다. 경계심이 많을 때 슬로프를 많이 주는 경우죠. 이것역시 수족관의 고기를 관찰해 보면 바닥권 먹이 활동을 할 때 붕어는 수평으로 있지 않습니다. 아래로 머리를 숙여 먹이를 흡입합니다. 붕어의 입 모양을 보면 위 쪽으로 올라가 있죠..결론은 수평하게 되는 겁니다..설명하기 어렵네요..

한번에 모든 궁금증이 해결될 순 없겠죠..

그냥 많이 부딫쳐 보시구 동영상 찾아보시면 답이 보이실 거 같네요..

답변이 허접해 죄송합니다.
dh천지
그니까 왜 찌가 올라가는데요
정작 질문에 답은 없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30 내림찌중에 저수심용 추천좀... 댓글1 겨울엔 12-02 11:38 2106
829 중층낚시 동호회 댓글7 배써 11-29 20:54 2936
828 붕어가 떠 있을때 어케하나요?(하우스) 댓글12 외바늘짱 11-22 15:57 4291
827 낚시대 변화??? 댓글7 논뚜렁 11-21 11:21 2421
826 하우스노하우알려주세요!! 댓글1 뜨은붕어 11-18 18:07 3402
825 도와주세요.. 댓글3 창신희나리 11-12 21:38 2107
824 pc튜브, 극쇄튜브... 댓글5 도라이깡 11-09 12:23 3626
823 자꾸 찌가 가라앉을때 대처방법좀요. 댓글6 뽕닙 11-07 18:06 2969
822 내림대및떡밥 댓글3 술취한거지 11-07 09:11 2585
821 하우스낚시 이렇게 어려운 건가요... ㅠㅠ 댓글6 붕세팸 11-02 00:42 4114
820 대단차 낚시 집어제 배합법 좀 알려주십시요 댓글2 각맨 10-24 20:20 4951
819 초보라.. 찌 선택에 어려움이 많네요.. 댓글1 체리쥬빌레 10-22 10:48 2091
818 유속이 거의없는 1.5m수로에서요??? 댓글8 무대에서날개를 10-20 05:57 2373
817 남수 초릿대 원줄묶는방법좀 갈켜주세용!! 댓글6 백곰돌 09-22 11:22 4672
816 fishingzzang 입니다 ㅎ 댓글20 fishingzzang 09-19 19:59 4050
815 챔질...... 댓글23 ally 09-08 23:16 4095
814 찌톱교체 잘해주는곳을 찾습니다 댓글6 elmedia 09-08 13:47 2705
813 뜰체망 연결법좀 가르쳐주세요...제발~~^^ 댓글5 화랑 09-08 12:57 2295
812 다이와파라솔각도조절기관련 댓글2 정조사 09-07 22:45 2001
811 일주일전 음공9척 구입..as문의 댓글6 강수형 09-04 22:48 2255
810 추서연휴동안 어버님모시고 낚시가려하는데 좋은곳좀추천해주세요 댓글8 백곰돌 08-31 11:00 1945
809 전층, 밤낚시때 줄보기 케미 좋은 방법없을까요 댓글15 빙산 08-30 17:05 4614
808 문의합니다 댓글8 낚시초보광 08-25 21:14 2045
807 초롱낚시 댓글4 사십이척 08-25 21:02 2646
806 입질이시원하지가 않아요... 댓글6 황승훈 08-22 19:51 2839
805 받침대 앞주걱이나 클램프 낚시대거치부분에 기스방지할수있는방법좀가르쳐주세요 댓글5 백곰돌 08-19 13:54 2850
804 여름철쵸친우동세트배합법좀알려주세요 댓글3 까치4150 08-18 09:40 2782
803 척수 질문 드립니다. 댓글6 중층짱구 08-09 17:30 2215
802 기법에 따른 찌톱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댓글9 수원꽝조사 08-01 00:24 3240
801 경사진 곳에서 내림할때....고수님의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댓글4 춤추는압맥 07-28 18:53 2592
800 차카쵸친이 모예요? 댓글5 진짜형재 07-21 15:27 5323
799 목줄의 길이 관련 질문 드립니다 댓글9 호동씨 07-07 18:41 3611
798 원줄 교체시기가 어떻게 되나요? 댓글8 허접내림 06-27 18:02 3326
797 피라미 퇴치해주는 미끼는 없나요? 댓글15 이유호 06-22 20:24 6130
796 붕어가 입벌리고 잇네요 ㅋ 댓글15 왕뿡어 06-14 22:58 3085
795 전층 초보 질문드립니다~~^^ 댓글4 i럽독i 06-12 20:40 2414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