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균형을 이룬 저수지의 먹이사슬은 인간의 침입으로 모든것이 파괴된다
매일 찾던 먹이 사냥터에 침입자가 나타나면 붕어는 방행을돌려 다른 사냥터를 찾는다
만일 다른장소에서도 인기척이 감지되면 먹이사냥자체를 포기해 버린다
그래서 인적이 드문 소류지일 경우 한꺼번에 많은 낚시꾼이 찾아가면 전혀 입질을 못받는 경우가 허다하다 철없는 잔챙이는 몰라도 경계심이 많고 연안접근성이 더 강한 대어들은 인기척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다.
붕어를 낚으러간 낚시꾼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붕어의 사냥터를 점거하고 배고픈 붕어를 쫓아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낚시꾼이 먼저 물가에 앉기 때문에 그곳에 올 붕어를 만나지 못하고 붕어가 매일 밤 가장자리로 온다는 사실조차 감지하지못하게된다
새우와 참붕어가 우글대는 식당 에 받침대를 꽃고 살림망까지 떡하니 걸쳐놓고있는데 붕어들이 접근하겠는가?
어떤 꾼들은 의자를 끌어당겨 물속에 넣기도한다
붕어를 못 쫓아서 안달인셈이다
붕어낚시의 가장큰 적은 저수온도 강풍도 불빛도 아니다
바로 낚시꾼이다 나 자신이다 따라서 최선의 낚시는 곧 나자신을 저수지에서 삭제하는것 아무런 인공없이 자연그대로의 생태계를 유지하는것 끊겼던 풀벌레의 노래가 다시울리고 새우들이 얕은 물가로 기어오르며 풀밭에서 붕어들이 다시 뛰어놀게만드는것 그것이 바로 갓 낚시이다
가방을 메고 물가로 다가갈때 흙탕물을 일으키며 달아나는 붕어를 목격한 적이 있을것이다
붕어는 사람만없으면 가로 나온다
하필자리를 비운사이에 입질을 했거나 낚시대앞으로 다가갈때 살림망 속 붕어들이 튀는광경도 보았을것이다
붕어들이 인기척에 민감하다는것을 증명하는 사례이다
어둔밤에는 낮보다 경계심이 덜하다 고 여기는 사람도있으나 그것은 상상일뿐 붕어는 물의 진동으로 뭍의 침입자를 알아채기 때문에 어둡다고 해서 은폐되진 못한다.
인기척을 없애는 방법은 무엇일까?
물가에서 멀리 떨어지는것뿐이다
물가에 붙어앉아선 아무리 조심하고 정숙해도 물속으로 전달되는 인기척을 차단할수없다
보통꾼들이 2칸대로 붕어를 낚는 자리가있다면 갓 낚시에선 훨씬 뒤로 물러나서 3칸대나 3.5칸대를 사용한다
그리고 더 얕은곳에 미끼를 놓는다 바로 그것만으로 월척확률은 몇배 높아진다
붕어가 인기척에 얼마나 민감한가는 똑같은 연안에 3칸대와 4칸대를 나란히 비껴쳤을때 4칸대의 씨알과 마릿수가 늘 월등하다는 사실에서도 나타난다
감사합니다.
올 늦가을에 한번더..ㅎㅎ
물가에가면 수심에 골자리만 찾았습니다
허~
느끼고 있습니다
건드려도 날라가는채비가
왕바늘 로 바뀌어갑니다 ㅎㅎㅎㅎ
대꾸를 안해도 뭔놈의 화잿거리가 그리도 많은지..
밤 12 시 넘도록 입질한번 못받은것이 그탓인가?